캐나다가 차세대 원전으로 꼽히는 ‘소형모듈원전(SMR)’ 설립에 착수하면서 G7 국가 중 최초 상용화를 추진한다.
SMR은 대형 원전보다 작게 설계돼 1/6~1/3 수준의 전력을 생산하는 원자로다. 구조상 대형 원전보다 안전하고, 전력 생산량 조절도 보다 용이해 원전의 한계점을 극복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경제성 문제로 아직 상용화한 국가는 없고, 중국과 러시아만 시범 사업을 진행 중이다.
블룸버그는 캐나다 온타리오주가 SMR 4기 설립에 209억 캐나다 달러(약 21조원)을 투자하는 계획을 승인했다고 지난 8일 보도했다. 완공되면 30만 가구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온타리오파워제너레이션(OPG)은 캐나다 토론토 근방 달링턴 원자력 발전소에 GE버노바사가 설계한 SMR ‘BWRX-300’ 첫 기 설립에 착수한다. 전기 출력량 규모는 기기 당 300MW다.
OPG는 여기에 61억 캐나다 달러(약 6조 1천400억원)가 투입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후 SMR 설립 전문 역량을 확보함에 따라 후속 프로젝트에선 비용이 감소할 것으로 기대했다.
온타리오주는 인공지능(AI) 확산 등 전력 수요 급증에 대비해 친환경적이고 안정적인 에너지원으로 SMR 설립을 택했다고 밝혔다. 온타리오주는 오는 2050년까지 전력 수요량이 최소 75%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관련기사
- 두산에너빌, 캔두에너지와 협력…"해외 중수로 시장 공략"2025.04.29
- 원자력연, 美 아르곤연구소와 SMR(소형모듈원자로) 개발 손잡나2025.04.15
- LG엔솔, 캐나다 합작사 출자 2025년→2028년 순연2025.03.12
- AI 시대 전력망 차세대 원전 'SMR' 뜬다2025.02.28
이번 결정으로 캐나다가 SMR 상용화를 이룰 최초 G7 국가가 될지 업계 주목이 쏠릴 전망이다. 경제성 확보가 최대 관건이다. 미국, 영국, 프랑스 등에서 SMR 설립 프로젝트가 추진되다 철회된 배경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오는 2035년을 SMR 첫 가동 시점으로 잡고 기술 개발을 추진 중이다.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도 2035~2036년 신규 설비 중 SMR 발전량 0.7GW가 포함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