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원표 SK쉴더스 대표(부회장)가 일신상의 사유로 자리에서 물러났다. SK쉴더스는 유심(USIM) 유출로 논란이 되고 있는 SK텔레콤의 정보보호부문 상당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 이에 "SKT 해킹 사태에 대한 책임을 지기 위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하지만 30일 회사는 "SKT 해킹 사태와는 연관이 없다. 임기가 7월말까지인데, 이사회 규정에 따라 임기 만료 3개월전에 거취를 결정해야 하고, 그 날이 공교롭게 오늘이 마지막인데, 홍 대표가 연임할 의사가 없다는 걸 내부에 공지한게 외부에 알려져 그런 억측이 있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회사는 "이번 사임에 따른 조직 개편이나 사업 방향 변화는 없으며, 기존에 추진 중인 주요 과제와 업무는 안정적으로 이어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신임 CEO 선임도 이사회 주도로 이뤄진다고 덧붙였다.
홍 대표는 2023년 8월 SK쉴더스 대표로 부임했다. KT 전무와 삼성전자 부회장, 사장을 거쳐 2015년부터 2021년까지 삼성SDS 사장, 대표를 역임했다.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대학교 대학원에서 전자공학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편 정보보호공시에 따르면 SKT 정보보호부문 전담인력(2023년 기준)은 내부인력 46.4명, 외주인력 176명 등이다. 외주인력 중 최소 80~최대 100명이 SK쉴더스 인력으로 구성됐다. 또 SK쉴더스 전체 매출 약 2조47억원(지난해 기준)의 10% 이상인 약 3434억원이 SK(주)에서 나왔다. SK쉴더스 지분은 코리아시큐리티홀딩스가 100% 보유 중이다. 코리아시큐리티홀딩스는 특수목적회사로 SK스퀘어(32%)와 EQT파트너스(68%)가 지분을 나눠 갖고 있다.

관련기사
- 안도성 SK쉴더스 그룹장 "S-봄, CEO가 강력히 추진해야"2025.03.14
- SK쉴더스-KB데이타시스템, 금융IT 보안 강화 협력2025.03.09
- 시큐리온, SK쉴더스 그룹장 출신 고봉수 대표 영입2025.03.04
- [단독] 로보티즈, LG전자에 휴머노이드 'AI 워커' 1차 납품2025.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