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대안평가 인가 1주년…"외국인 신용평가도 개선"

모형 '이퀄' 도입 확대

금융입력 :2025/04/18 08:26

통신대안평가가 17일 지난 2024년 비금융 데이터 기반 개인의 신용을 평가하는 ‘전문개인신용평가업’ 인허가를 취득한지 1주년을 맞이해, 대안신용평가 서비스 '이퀄(EQUAL)'의 금융사 도입 검토가 이어지고 있다고 18일 밝혔다.

지난 1년간 통신대안평가는 KB금융 5개 계열사·케이뱅크·롯데카드·신한카드·SBI저축은행 등 주요 금융사에 이퀄을 도입했다. 하나은행과 우리은행, 토스뱅크도 현재 이퀄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는게 회사 측 설명이다.

이퀄은 ▲통신비 납부 이력 ▲가족결합 프로그램 활용 여부 ▲데이터 사용 시간대와 패턴 등 2천여개 이상의 세부항목을 분석해 차주의 신뢰성과 상환의지, 상환능력을 점수화한다. 

통신대안평가는 인가 1주년을 기점으로, 알뜰폰 데이터를 비롯한 각종 비금융 데이터를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통신데이터 외에도 비금융 데이터를 지속 확보하여 결합하여 이퀄의 성능을 지속적으로 정교화함과 동시에 활용도와 경쟁력 또한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알뜰폰 데이터가 확대되면 내국인의 데이터 커버리지 향상은 물론, 국내 거주 외국인의 99%에 대한 커버리지 확보도 가능해져 외국인 신용평가 시장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관측된다 .

관련기사

통신대안평가 문재남 대표는 “1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대안신용평가를 통해 금융시장의 포용성을 확대하고 시장 신뢰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발판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금융 소외계층과 다양한 고객군을 아우르기 위해 기술과 데이터를 결합한 혁신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통신대안평가는 통신 3사(SKT, KT, LG U+)와 SGI서울보증보험, 코리아크레딧뷰로(KCB) 5개사 합작법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