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스타페이가 자체 거대언어모델(LLM) 개발을 추진한다. 기존 창작형 인공지능(AI) 플랫폼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언어 분야에 AI를 개발해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취지다.
인스타페이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통령 후보의 'AI 100조 투자 공약'과 관련해 자사 모델이 해당 비전에 부합할 수 있다고 보고 '오써인텔리전스' 개발에 착수했다고 16일 밝혔다. 이 모델은 회사가 약 5년간 운영해온 창작형 AI 플랫폼 '오써(Author)'를 기반으로 구축된다.
'오써인텔리전스'는 언어 생성과 창작에 특화된 생성형 인공지능 모델로, '챗GPT', '제미나이', 딥시크, 등 글로벌 LLM과의 경쟁을 목표로 한다는 설명이다.

인스타페이는 '오써' 외에도 유아·초등학생 대상의 AI 창작 플랫폼 '오써키즈'를 운영 중이다. 사용자가 스토리텔링을 하면 AI가 선택형 문답을 통해 동화를 생성해주는 서비스로, 두 차례 유아·초등 대상 공모전을 포함해 대학생 공모전도 개최했다.
공공 협업 사례도 이어졌다. 대림도서관 등 공공도서관과 함께 '오써 창작 프로그램 교실'을 운영했고 서초구와는 100명의 초등학생이 참여한 'AI로 그린 서초 책있는 거리' 행사를 진행했다. 또 지난해 11월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열린 '2024 도서관 정책세미나'에 초청돼 체험 부스를 운영했다.
이번 프로젝트에는 카이스트 출신으로 엔씨소프트, 크래프톤 등에서 AI 게임을 개발했던 김지호 개발자와 빅테크 기업에서 LLM 개발 경험을 가진 인력들이 참여할 예정이라고 회사 측은 밝혔다.
관련기사
- 와이즈넛, 'AI 검색' 통해 공공시장 정조준…벡터 검색 솔루션 조달 등록2025.04.15
- 전지전능한 'AI 자동화 시대'가 열린다2025.04.15
- "AI가 내 삶을 망칠까?"…대중은 불안, 전문가는 낙관2025.04.05
- [김형민] ‘AI 여민동락(與民同樂)’의 시대2025.03.07
인스타페이는 QR·바코드 기반 모바일 결제 플랫폼을 주력으로 해온 핀테크 스타트업으로, 현재는 창작형 AI 중심으로 사업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초거대 언어모델 개발에 필요한 대규모 컴퓨팅 자원과 인프라 확보 여부는 향후 과제로 남는다.
배재광 인스타페이 대표는 "AI 반도체와 컴퓨팅센터, 클라우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챗GPT 등과 겨룰 수 있는 국산 파운데이션 모델이 필요하다"며 "이번 도전은 21대 대통령이 추진할 AI 생태계 강화의 핵심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