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티그리트는 자체 개발한 온 디바이스 기반의 초경량화된 거대언어모델(LLM) '시나AI 3b V1'과, 이를 기반으로 실시간 상황인식과 자율주행을 제공하는 시각-언어-행동(VLA) 플랫폼을 발표한다고 22일 밝혔다.
시나AI 3b V1은 라마 3.2 3b 언어모델을 기반으로 특정된 50만 건의 데이터를 학습해 최적화한 한국어 전용 LLM 모델이다.
별도 네트워크 연결 없이도 구동되는 온디바이스 AI 전용 모델이다. 사생활 침해 우려가 높은 공항, 백화점, 공공시설 등에서 보안성과 응답 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국내 대형백화점, 공공장소, 테마파크, 전시장 등 대규모 복합문화시설에서 사용되는 대화 응답 데이터셋 20만 건을 추가로 학습하고 최적화했다.
인티그리트는 오는 3월부터 인천국제공항에서 운영하는 로봇을 통해 본격적인 기술 실증에 나선다. 이를 계기로 다중이용시설 현장에 최적화된 모델로 공개 버전을 배포한다는 계획이다.
온디바이스 LLM과 비전AI 모델을 통합한 VLA 모델인 '시나AI VLA V0'도 함께 선보였다. 멀티 카메라 영상을 통해 상황을 인지하고, 맥락을 판단해 실시간 자율주행 경로를 설계하는 것이 특징이다.
관련기사
- 인티그리트, 생성형 AI 하드웨어 'V스텔라' 공개2024.02.01
- 인티그리트·퓨리오사, 차세대 'AI 로보틱스' 플랫폼 개발 위해 맞손2023.10.16
- 인티그리트, 이음5G 특화망 전용 자율주행로봇 출시2023.10.10
- 인티그리트, 챗GPT 탑재 로봇 서비스 확대2023.06.18
이종민 인티그리트 AI 플랫폼개발팀 수석연구원은 "로봇은 고도로 밀집된 다중복합시설에서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위험 상황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며 "새로운 VLA 기반 자율주행체계로 안전과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티그리트는 오는 3월 우분투 버전 '에어패스 V3C'의 출시를 앞두고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와 협업을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