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전세계 휴머노이드 생태계 선점

모건스탠리 '휴머노이드 100' 발표...韓, 삼성·LG·현대·네이버 등 8곳

디지털경제입력 :2025/02/18 10:16    수정: 2025/02/18 11:06

휴머노이드(인간형) 로봇 유관 기술을 연구하는 세계적 업체들의 대부분이 미국과 중국에 포진해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모건스탠리의 '휴머노이드 100' 보고서에 따르면 주요 글로벌 로봇 업체 100개 가운데 미국과 중국이 각각 35개씩 차지했다. 한국은 8곳이 이름을 올렸다.

모건스탠리는 보고서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생태계에 참여한 기업들을 ▲브레인(22개) ▲바디(64개) ▲인테그레이터(22개) 부문으로 분류했다.

휴머노이드 로봇 비교. 왼쪽부터 피규어AI '피규어02', 테슬라 '옵티머스', 보스턴다이내믹스 '아틀라스' (사진=각사)

선정 기업 중 52%는 실제로 휴머노이드 로봇 가치 사슬에 참여하고 있었다. 나머지는 관련 사업에 아직 적극 진출하지 않았지만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먼저 인테그레이터는 완전한 휴머노이드 로봇을 제작하고 있거나 로봇·자동화 기술을 연구하는 업체가 주로 이름을 올렸다. 자동차와 전자 업체들이 대거 포함됐다.

미국 아마존과 중국 텐센트, 알리바바 등이 선정됐다. 국내에서도 삼성전자와 LG전자, 현대, 네이버, 레인보우로보틱스가 뽑혔다.

브레인 분야에서는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는 알파벳과 메타,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나타났다. 반도체 업체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TSMC 등도 함께 채택됐다.

모건스탠리 선정 '휴머노이드 100대 기업' (사진=모건스탠리)

바디 분야에서는 로봇에 활용되는 주요 부품사들이 지명됐다. 배터리 업체는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CATL 등이 이름을 올렸다. 센서 업체 중에서는 일본 키엔스와 소니 등도 선택됐다.

휴머노이드 로봇이 공개되는 사례도 크게 늘었다. 2022년 6개, 2023년 9개 로봇이 공개되는 데 그쳤지만, 2024년에는 한 해 동안 51개 로봇이 등장했다.

관련기사

2022년 이후 발표된 휴머노이드 로봇 66종 가운데 중국산이 61%에 달했다. 미국·캐나다는 24%를 차지해 뒤를 이었다.

모건스탠리는 보고서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이 향후 10년간 기술 투자의 핵심 주제가 될 것"이라며 "관련 시장 규모가 최대 60조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