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암흑물질과 암흑 에너지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발사된 유럽우주국(ESA) 유클리드 망원경이 희귀한 우주 현상인 ‘아인슈타인 고리’를 포착했다고 우주과학매체 스페이스닷컴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번에 유클리드가 포착한 ‘아인슈타인 고리’는 지구에서 약 5억 9천만 광년 떨어진 비교적 가까운 은하 NGC 6505에서 포착됐다. NGC 6505 은하 뒤에서 고리를 만든 은하는 지구에서 약 44억 광년 떨어져 있는 은하에서 온 것으로 확인됐다.
![](https://image.zdnet.co.kr/2025/02/11/92d23b3597284b2c0ab651ea39bca05f.jpg)
아인슈타인 고리는 서로 떨어진 위치에 있는 두 개의 은하가 가지런히 위치한 것처럼 보이는 것으로,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 중 ‘중력렌즈 효과’와 연관이 있다. 앞에 위치한 은하의 중력으로 인해 뒤 은하의 빛이 렌즈를 통해 보는 것처럼 휘어져 왜곡되고 확대돼 보인다.
![](https://image.zdnet.co.kr/2025/02/11/fcabf1e2da6c4fade0dec89a20c495bc.jpg)
“유클리드가 이번에 처음 발견한 중력 렌즈 효과는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며, "NGC 6505와 같은 완전한 아인슈타인 고리가 형성되는 것은 고리를 만든 은하와 근원 은하가 망원경과 완벽하게 정렬되어야 하기 때문에 훨씬 더 드문 현상"이라고 유럽우주국(ESA) 유클리드 팀원이자 국립 천체물리학 연구소 연구원 마시모 메네게티는 밝혔다.
유클리드 임무가 향후 진행할 넓은 우주 영역 탐사를 고려하더라도 향후 이와 같은 중력 렌즈 현상을 최대 20개 정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관련기사
- 태양이 ‘거대 망원경’ 변신?..."어떤 망원경보다 강력" [우주로 간다]2024.10.07
- "결혼해줄래?"…제임스웹, 우주서 보석 반지 찾았다 [우주로 간다]2024.07.10
- [포토] 거대 모아이 석상과 우주 '금반지'가 만났다2024.10.05
- 화성 가는 핵 열추진 로켓, 극한 온도 테스트 ‘성공’ [우주로 간다]2025.02.10
![](https://image.zdnet.co.kr/2025/02/11/9181c27596353f13c1760a8270d86a14.jpg)
허블우주망원경보다 200배 넓게 볼 수 있는 유클리드 망원경은 2023년 발사돼 향후 6년 간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을 탐사할 예정이다. 암흑에너지와 암흑물질은 인간의 눈에 보이진 않지만, 우주의 약 95%를 구성하고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정체불명의 물질이다.
해당 연구결과는 10일 국제학술지 '천문학과 천체물리학'(Astronomy & Astrophysics)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