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중심차(SDV) 등장을 불러온 기술 발전 흐름이 선박으로 이어진다는 전망이 나와 이목을 끈다. 내달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리는 MWC25에 마련된 ‘스마트 모빌리티 서밋’에서 관련 주제를 다루게 된다.
MWC 주최 측인 GSMA에 따르면 자동차 제조 경쟁력은 소프트웨어, 전기화, 공급망 복원력 중심으로 개편되면서 완성차 업계가 도전에 직면했는데 선박 업계도 이같은 흐름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자율주행차에 이어 자율주행 선박에 대한 청사진이 가시화되고 있는데 소프트웨어 정의(Software-defined) 혁신으로 불거지는 변화 측면에서 자동차 산업이나 해양산업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야 한다는 뜻이다.

보트의 소프트웨어를 통한 혁신이 이뤄진다면 먼저 지능형 내비게이션 서비스가 고도화될 것으로 점쳐졌다. 날씨와 해류, 장애물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를 고려해 경로 최적화를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아울러 유지보수 예측 측면에서도 이점이 될 것으로 꼽혔다.
다만 도로 위에 있는 자동차와 비교해 바닷물, 극한의 온도, 통신 연결이 제한된 지역 등의 환경을 고려할 때 내구성을 갖춘 하드웨어와 유연한 소프트웨어 솔루션이 필요하다는 과제를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소프트웨어 정의 측면에서 통신 연결은 단연 가장 필수적인 과제로 꼽힌다. 이를 통해 OTA 방식을 통한 시스템 업데이트, 실시간 데이터 공유, 원격 모니터링 등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선박 내 소프트웨어와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최신 상태로 유지하고 선박의 유지보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성능 모니터링이 이뤄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연안에서 셀룰러 방식과 함께 공해상에서는 위성통신이 하이브리드 형태 솔루션으로 제공되는 것이 필수적이다.
상업용 여객선의 경우 선내 디지털 엔터테인먼트 서비스 고도화도 노려볼 수 있다.
관련기사
- 지구촌 뒤흔드는 AI, MWC에서 직접 확인하세요2025.02.02
- 글로벌 AI 거물들, 한달 뒤 MWC로 모인다2025.01.30
- 내년 MWC서 가릴 세계 최고 스타트업 후보 다섯곳 선정2024.12.11
- 새해 MWC 주제는 '컨버지, 커넥트, 크리에이트'2024.11.17
아울러 선박 데이터가 쌓이게 되면 연료 소비 효율과 같은 성능 최적화와 더불어 안전성 확대가 기대된다.
이같은 논의를 다루는 스마트 모빌리티 세션은 총 네 번의 무대로 꾸려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