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림산업의 신사업이 론칭 4년이 지났지만 낙제점을 받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마케팅비를 쏟아부었지만, 여전히 낮은 시장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어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하림산업의 지난해 매출은 705억원으로 전년 대비 52.9% 급증했지만, 영업손실은 1천96억원으로 적자 폭이 늘어났다. 매출보다 적자가 더 큰 셈이다.
특히 영업적자는 매년 늘어나고 있다. 2019년 매출은 36억원을 기록했고 2022년 461억원으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 영업손실은 148억원에서 868억원으로 확대됐다.
이는 광고선전비가 약 2배 늘어난 영향으로 보인다. 하림산업의 지난해 판매비와 관리비는 643억원으로 전년(349억원) 대비 84% 증가했다. 급여와 운반비가 각각 36.7%, 75.3% 늘었고 광고선전비는 128억원에서 262억원으로 두 배 넘게 급증한 탓이다.
신사업을 시장에 안착시키기 위해 광고비가 늘어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하림산업은 지난 2021년 10월 간편식 브랜드 ‘더(THE)미식’을 론칭하고 첫 제품으로 ‘장인라면’을 선보인 바 있다. 당시 김홍국 하림 회장이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직접 제품을 소개하는 등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다. 모델로는 배우 이정재를 선정했다.
이후 유니자장면, 즉석밥, 냉동만두, 냉동 국물요리 등을 선보였고 올해에도 더미식 장인라면 ‘맵싸한 맛’과 ‘오징어라면’ 등을 출시했다.
라인업을 늘렸지만 시장 점유율은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식품산업통계정보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라면(봉지·용기)의 소매점 브랜드별 매출은 농심의 신라면이 가장 높았다. 이어 ▲짜파게티(농심) ▲진라면(오뚜기) ▲불닭볶음면(삼양식품) ▲육개장(농심) ▲안성탕면(농심) ▲너구리(농심) ▲왕뚜껑(팔도) ▲삼양라면(삼양식품) ▲팔도비빔면(팔도) 순으로 나타났다. 더미식 장인라면은 10위권에 포함되지 않았다.
만두 점유율도 10위 안에 들지 못했다. 지난해 기준 CJ제일제당의 비비고가 매출 1위를 차지했고 ▲고향만두(해태제과식품) ▲생가득(풀무원식품) ▲개성(동원에프앤비) ▲딤섬(동원에프앤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재고자산 회전율도 하락세다. 지난해 하림산업의 재고자산 회전율은 6.8%로 2021년 6.1%에서 2022년 8.9%로 올랐다가 다시 감소했다. 재고자산 회전율은 재고 상품이 현금화까지 걸리는 시간을 나타내는 것으로 낮을수록 재고 소진이 더디다는 의미다.
업계에서는 높은 가격을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더미식의 장인라면 한 봉지 가격은 2천200원으로 농심의 신라면 가격이 950원인 것과 비교하면 두 배 넘게 비싸다. 즉석밥도 210g 기준 2천300원으로 경쟁사 대비 두 배 이상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출시한 더미식 오징어라면도 한 봉지에 2천200원으로 책정했다. 4개입 기준 8천800원이다.
관련기사
- "4년간 연구했다"…하림 '더미식 육즙만두' 맛보니2023.10.06
- 하림 푸디버디 어린이 라면, 700만개 넘게 팔렸다2024.03.11
- 생존 위협 느낀 대기업 SI, 내년 AI에 명운 건다2024.12.23
- 해커 손에 들어간 시스코 데이터, 다크웹 마켓서 거래2024.12.22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라면의 경우 소비자들은 평소에 먹는 제품만 구입하는 경우가 있고 가격이 저렴하거나 행사를 진행해야 신제품을 먹어보는 편”이라며 “가격이 지나치게 비싸면 구매에 진입장벽이 된다”고 말했다.
이에 하림산업 관계자는 “프리미엄을 지향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최근 출시한 제품의 가격 수정 계획은 없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