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로봇기업 로보티즈가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지 6년째 수익성 악화를 면치 못하고 있다.
5년 전 야심차게 시동을 건 자율주행로봇 신사업은 올해도 냉혹한 시장에서 저조한 성적표를 받았다. 내년엔 자체 제작 협동로봇 완제품까지 선보일 예정인데 실적 개선의 원년이 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인다.
로보티즈는 1999년 설립된 로봇 전문기업이다. 로봇을 구성하는 핵심 구동 부품인 ‘액추에이터’를 주 먹거리로 삼고 있다. LG전자가 2017년 90억원을 투자해 현재까지 2대 주주로 올라 있다. 2019년까지는 로봇 기업 중 드물게 안정적인 매출 성장과 꾸준한 영업이익을 내왔다.
그러나 안정은 오래가지 못했다. 로보티즈는 2018년 10월 코스닥 상장을 기점으로 실적이 꺾이기 시작했다. 200억원 안팎으로 고전하던 매출은 작년에 와서야 다시 성장세에 접어들었다. 연간 영업이익은 2019년에 마지막 흑자를 낸 뒤로 지금까지 적자폭이 늘고 있다. 올해 3분기 누적 매출은 232억6천만원, 영업손실은 22억4천만원으로 집계된다.
로보티즈는 2018년 상장할 무렵 LG전자와 로봇 자율주행모듈 공동 개발에 나섰고, 이듬해 자체 개발한 실외 배송로봇을 공개하고 신사업 청사진을 그리기 시작했다. 현재까지 자율주행로봇 사업을 ‘개미’로 브랜딩하고 실내·외 서비스를 두루 갖췄다.
특히 로보티즈의 실외 자율주행 기술은 업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완성도를 지닌 것으로 평가된다. 올해 초에는 국내 첫 실외이동로봇 운행안전인증을 획득하고, 다양한 배송 서비스에 시범 투입되며 상용화 기대감을 키우기도 했다.
다만 회사의 매출 비중은 올해까지도(3분기 누적 기준) 액추에이터가 229억3천만원으로 전체의 98.5%를 차지하고 있다. 자율주행로봇은 대부분 실증 단계에 머무르며 연간 3억3천만원의 매출을 내는 데 그쳤다.
자율주행로봇 성적표는 내년이 중요한 기점이 될 전망이다. 지난 4월 LG전자와 실외이동로봇 납품 일정을 위해 논의에 나섰고, 내년 초 본격 공급을 시작할 예정이다. 내년이라도 대규모 납품 성과를 보여준다면 실적을 뒤집을 만회 카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병수 로보티즈 대표는 지난 4월 인터뷰에서 “LG전자와 함께 본격적인 실외 자율주행로봇 사업을 도모하기로 했다”며 “개미 양산 시기를 더욱 앞당길 수 있으면 올해 흑자전환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관련기사
- 로보티즈, MIT와 '피지컬 AI' 개발 착수2024.11.19
- 로보티즈, 3분기 영업손실 14억원…매출은 3.8%↑2024.11.15
- 로보티즈, 카카오모빌리티와 로봇배송 나서2024.10.28
- [현장] 공원 쓰레기, 로봇에게 주세요…로보티즈 '개미' 12대 투입2024.10.05
내년 초에 선보일 맞춤형 협동로봇 ‘오픈매니퓰레이터-Y’ 효과도 관심을 모은다. 회사 측은 기존 자율주행로봇과 연계해 무인화 솔루션을 확대한다는 방침인데, 매니퓰레이터 제조사들의 수주 상황이 녹록지 않은 만큼 단기간 내 성과를 내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로보티즈 측은 최근 공시에서 “자율주행로봇은 현재 많은 투자가 집중되고 있다”며 “특히 실외 서비스는 규제 완화 및 AI 데이터 수집, 일부 시설 산업 요소 등으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요구돼 투자기간이 이어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