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뇌경색 환자, 동맥내 재개통 치료 직후 지나친 혈압조절 피해야

보건의료연구원, 공익적 임상연구에 대한 국가 지원 지속 필요

헬스케어입력 :2024/11/24 14:43    수정: 2024/11/24 15:48

급성 뇌경색 환자의 경우 동맥내 재개통 치료 직후 지나친 혈압조절은 예후에 부정적 영향을 끼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이하 PACEN)은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동맥내 재개통술 후 혈압 관리 전략 간 비교’에 대한 임상적 가치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뇌혈관질환은 국내 주요 사망원인으로, 뇌졸중의 특성상 급성기 치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운동장애, 언어장애 등의 후유장애로 인해 환자 개인은 물론 사회경제적으로도 부담이 큰 질환이다.

최근 급성 뇌경색 재개통 치료의 하나인 동맥내 혈전제거술의 임상적용이 증가하는 가운데, 동맥내 혈전제거술 후 뇌출혈 발생, 뇌경색 진행 등 여러 혈관 사건들이 발생할 수 있는 고위험 시기인 처음 24시간 동안 혈압 조절 목표에 대한 논란이 존재했다.

국내·외 가이드라인에는 동맥내 혈전제거술 후 24시간 동안 혈압을 180/105mmHg 이하로 낮추도록 권고하고는 있으나, 이를 뒷받침할만한 높은 수준의 전향적 비교임상연구가 수행된 바 없고 관련 후향연구에서도 상이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었다.

이에 PACEN에서는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동맥내 재개통 치료 성공 직후 혈압조절 치료 전략 간 비교를 통해 환자에게 최적의 보건의료성과를 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연세대학교 남효석 교수 연구팀에 의해 수행된 OPTIMAL-BP 연구를 지원했다.

OPTIMAL-BP 연구는 2020년 6월부터 2022년 11월까지 전국 19개 의료기관이 참여한 무작위배정 비교임상연구로 그 결과, 동맥내 재개통 치료 직후 수축기혈압을 140mmHg 미만으로 더 낮게 조절한 군에서 표준적 혈압관리군(수축기혈압 140~180mmHg)에 비해 예후가 나쁜 환자의 비율이 15.1% 더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PACEN은 이번 연구에 대해 급성 뇌경색 환자에서 동맥내 재개통 후 24시간 동안 수축기혈압을 180mmHg 미만으로 유지하되, 140mmHg 미만으로 지나치게 조절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는 구체적 내용을 향후 가이드라인에 반영하는 것뿐만 아니라, 임상현장에서 근거에 기반한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했다.

해당 연구주제는 연구를 통해 직접적 이익을 얻는 특정 주체가 없어 연구수행이 취약한 분야 중 하나이다. 이번 연구는 공익적 임상연구 지원을 통해 국민 건강에 실질적 이득(치료효과 향상, 삶의 질 개선 등)을 가져올 수 있음을 확인한 우수 연구 사례로, 세계 최고 권위 의학 저널인 미국의학회지 JAMA에 게재되어 그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NECA)

허대석 PACEN 사업단장은 “이번 연구결과는 임상현장에서 치료 전략을 선택하는데 있어 중요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으며, 국내 환자들의 임상시험에 대한 인식 개선에 도움이 되는 우수사례”라며“앞으로도 환자중심의 국가지원 공익적 임상연구는 환자 입장에서 무엇이 가장 최선인지를 규명하는 연구를 지원함으로써 실질적인 국민건강 향상에 이득을 가져올 수 있으며, 공익적 임상연구에 대한 국가지원이 반드시 지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뇌경색(허혈성 뇌졸중)은 대부분 색전 및 혈전으로 인한 뇌혈관 폐색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으로, 국내 사망원인 중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2년 국내 자료에 따르면 급성기 치료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38.8%는 일상생활에 일정 부분 도움이 필요한 상태로 퇴원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개인과 사회 모두에게 부담이 큰 질환이다.

재개통 치료의 하나인 동맥내 혈전제거술(endovascular thrombectomy)은 동맥으로 직접 카테터나 스텐트 제거기(stent retreiver)를 삽입해 혈전을 제거하는 치료법으로, 과거 임상연구를 통해 그 효과가 입증된 치료이다. 2022년 기준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16.3%가 재개통치료를 받았으며, 동맥내 혈전제거술 시행률은 2012~2014년 3.0%에서 2022년 6.5%로 임상적용이 증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