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항공교통(UAM)은 공공분야에서 가장 먼저 시도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인프라 부문에서 정부와 지자체들의 도움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민관이 함께 UAM 생태계 조성 협력해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합니다."
김정일 SK텔레콤 UAM 총괄 부사장은 6일 국회에서 열린 'AI 모빌리티 신기술전략 조찬포럼'에서 "UAM은 복잡한 도심 교통의 게임체인저로 부상했지만 아직 풀어야 할 숙제가 많다. 같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을 해야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UAM은 도심항공을 비행하며 사람 화물을 운송하는 교통체계를 지칭한다. 육상에서 그쳤던 교통이 하늘로 확장하면서 이러한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신기술 경쟁이 치열하다. 글로벌 조사기관들은 UAM 시장이 2040년까지 700조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선진국에 비해 도시 가열화가 높아 GDP 대비 교통 혼잡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이에 UAM이 상용화가 되면 이러한 교통 혼잡을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김 부사장은 "UAM은 복잡한 도심의 교통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수가 있다"며 "전기로 움직이기 때문에 탄소배출이 제로고, 수직 이착륙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은 공간을 활용해서 이동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현재 전세계 각국은 UAM에 대한 선점 경쟁력을 가져가지 위해 굉장히 치열하게 움직이고 있다"며 "우리나라도 국토교통부가 주관 부서가 돼, 엄청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현재 정부는 K-UAM을 미래 성장동력으로 선정하고 예산을 증액하고 있다. 또 지난 5월에는 세계 최초로 UAM 상용화를 위한 '도심항공교통 활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도 발의했다. 뿐만 아니라 국토부는 UAM 상용화를 위한 국가 R&D 과제들을 계속 진행하며 다양한 실증 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2025년 말부터 UAM을 상용화한다는 목표다.
이에 김 부사장은 UAM의 상용화에 앞서 먼저 여건이 만들어졌는지를 살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UAM을 민간에서 주도적으로 해야 하는 산업으로 규정했지만, UAM이 상용화 되기 위해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제도적 뒷받침과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김 부사장은 "UAM은 장기적으로 높은 성장이 전망되지만 막대한 투자와 불확실한 수요로 성숙기까지는 적자가 불가피한 사업"이라며 "UAM은 벨류체인이 넓고 복잡해 단독으로 시장 구조를 개선할 수 없다. 민관이 함께 UAM 생태계 조성에 협력해서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UAM이 가장 먼저 응급의료, 소방/재난, 치안, PSO, 교통/도로 등의 '공공 분야'에 적용 될 것으로 관측했다. 먼저 대중에게 안전에 대한 신뢰를 제고할 수 있어야 향후 교통체계로 정착할 수 있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공공 목적으로 적용되기에는 해결해야하는 난관도 존재해 국토부가 타 부처와도 긴밀히 협업해야 한다.
특히 서울 도심내 UAM이 이착륙할 수 있는 '버티포트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민관 협력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의 경우 도심내 유휴 부지 부족에 빌딩 옥상 면접이 좁고, 부동산 가격이 높아 버티포트 인프라 구축이 쉽지 않을 것으로 관측된다. 공공 버티포트 거점을 구축하기 위해 지역수용성을 제고할 보상과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김 부사장은 "UAM 산업 전체의 성장을 위해서는 리스크를 감내하고 투자를 결정한 선도사업자들이 초기 시장에서 생존하고 수익을 재투자해 시장 전체의 파이를 키워가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하늘길 여는 KT…UAM 통합운용체계 검증2024.04.24
- 민관 협력으로 UAM 버티포트 설계 기준 만든다2024.02.22
- [MWC] UAM은 통신사가 주도...날아다니는 택시 개척 앞장2024.02.26
- [MWC] 진짜 UAM이 날아올랐다...스페인 수놓은 서울 하늘길2024.02.26
이를 위해 정부가 선도사업자들이 생존할 수 있는 최소한의 토양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상용화 초기 최소의 수익을 보존해달라는 것이다. 또한 ▲파일럿 양성 ▲공항 에어사이드 연결 ▲운임 자율성 등을 통해 UAM의 성장을 촉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그는 "승객(패신저) 영역에서 가장 먼저 시장이 발생할 것으로 생각한다. 이에 공항에어사이드 연결이 중요하다"며 "공항에어사이드 연결을 통해 페스트 트랙을 구축해야 한다. 보안, 심사, 방역, 화물 수송 등 다수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