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호종 대전 부시장 "대전샛 진행 순조…발사체도 계획"

지난 8일 성진테크윈서 방산업체 간담회…안산국방산단 조속 추진 등 건의

과학입력 :2024/10/09 16:12    수정: 2024/10/10 14:35

"오는 2026년 위성 발사 목표인 '대전샛(SAT) 프로젝트'가 순조롭게 추진 중이다. 대전시는 발사체 개발도 추진한다. 이 같이 서로 상생하고 융합할 아이디어를 달라."

장호종 대전시 경제과학부시장이 지난 8일 죽동산업단지 성진테크윈 회의실에서 11개 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열린 '기업 간담회'에서 던진 얘기다. 서로 힘 합칠 아이디어를 내, 머리를 맞대고 잘 다듬어 사업 아이템으로 만들어보자는 취지다.

'대전SAT'은 △스텝랩 △씨에스오 △이피에스텍 △엠아이디 △컨텍 및 △대전테크노파크가 참여한다. 총 54억 원을 들여 16U급 초소형 큐브위성을 제작하는 지자체 단위 첫 위성 개발 프로젝트다.

대전방위산업연합회가 주관한 방산기업 간담회가 8일 개최됐다. 장호종 대전부시장이 인사하고 있다.

이날 간담회는 대전방위산업연합회(회장 이계광, 성진테크윈 대표) 주관으로 ▲대전 국방기업 현안 공론화 ▲국방기업 애로 청취 ▲대전국방산업 발전위한 정책 등을 건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참여 기관은 △LIG넥스원 △두타기술 △한국센서연구소 △디센텍 △극동통신 △덕산넵코어스 △제이나인 △알티스트 △대영에스텍 △성진테크윈과 △국방소프트웨어협회 등이다. 이들 기관 대표자들이 참석했다. 대전시에서는 국방우주산업팀, 대전테크노파크에서는 로봇방위산업센터 사업 운영자 등이 참석했다.

장호종 부시장은 "인근에 위치한 국방과학연구소(ADD) 등도 지역 기업과 협업을 원한다. 거리가 먼 기업 등은 소통이나 출장 애로가 있다더라"며 "대전 기업과의 기술 매칭 등을 위해 기업 수요 전수조사를 계획 중"이라고 말했다.

장 부시장은 또 "경제 상황이 좋지 않기에 출연연이나 정부 등의 R&D 예산을 활용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력 양성과 관련해서 장 부시장은 "KAIST, 충남대, 한밭대 등과 기업 맞춤형 계약학과도 추진 중"이라고 언급했다.

서로 아이디어를 찾아 협업할 분위기를 만들고, 전문인력 양성을 적극 지원하는 등 지자체가 할 수 있는 일은 적극 만들어 나가겠다는 것이 장 부시장 얘기의 골자다.

이날 참여한 기업들은 대전시가 추진하는 안산국방산업단지의 조속한 조성과 입주 조건 완화, 사업 추진의 걸림돌로 작용하는 지자제 조례 등에 대해 건의했다.

이계광 대전방위산업연합회장이 8일 간담회에서 발언했다. 오른쪽은 장호종 대전시 부시장.

김우주 LIG넥스원 지역장은 "내년 완공을 목표로 500억 원 규모로 죽동 사업장을 추가 건립 중인데, 신재생 에너지와 관련한 태양광 설치 등 조례 규정 때문에 추가 설치비가 10억 원 정도 발생한다"며 "사업장 설립에 신재생에너지를 반드시 포함시켜야하는 시 조례 등은 풀어 달라"고 요청했다.

황태호 덕산넵코어스 대표는 "나로호의 위성 수신기나 함재밍 수신기 등을 납품하는데, 대전SAT 사업을 몰랐다"며 "위성 협의체를 구성하면 이 같이 지자체 추진 사업을 놓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발언했다.

황 대표는 이외에 안산국방산단의 조속한 조성과 인력 학보 문제 등을 건의했다.

안산 국방산업단지 조성 사업은 사업자 선정과 개발제한구역 해제, 출자협약 부적절성 의혹, 컨소시엄 변경 이유 등 복잡한 행정 문제 등이 얽혀 감사원 감사를 받았다. 또 국토부와 환경부의 각종 규제 등이 얽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황일선 국방소프트웨어협회장은 "대전에는 데이터와 네트워크, AI 등 DNA기술을 다 갖추고 있다. 여기에 데이터 센터를 구축해 군의 합동 훈련 등에 활용하는 방안을 대전시가 주도해도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황태호 덕산넵코어스 대표(가운데)가 8일 방산기업 간담회에서 안산국방 산단 입주 조건 완화를 건의했다. 왼쪽은 강원구 대영에스텍 대표, 오른쪽은 이동국 두타기술 대표다.

황 회장은 또 "대전지역 기업 기술력을 군에 소개할 기회를 매년 1~2회씩 가질 것"을 제안했다.

이외에 김경호 더쎈텍 대표는 안산단지 입주 조건 완화를 요청했고, 이동국 두타기술 대표는 공유 팩토리 조성을 건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