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인공지능을 이용한 인간 이미지 합성 기술)를 이용한 금융 사기 피해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가운데, 보험업도 보험금 사기 청구 예방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8일 보험연구원은 '미국 딥페이크 관련 법안 동향과 보험회사의 대응' 보고서를 통해 미국을 시작으로 딥페이크 사기 및 명예훼손에 대한 법적 제재가 강화되고 있는 만큼, 딥페이크를 통한 새로운 사기 위협에 대한 보험산업이 대응이 요구된다고 진단했다.
보고서는 딜로이트 자료를 인용해 딥페이크 관련 금융 사기는 2023년 123억 달러에서 2027년 400억 달러로 연평균 32% 증가할 것이라고 보며, 최근 최고경영자(CEO) 음성이 딥페이크로 조작돼 큰 액수의 금전적 손실이 발생한 사례도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보험사의 경우 보험 청구 디지털화로 인해 딥페이크를 이용한 보험사기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 2025년까지 보험 청구의 70%가 비대면 자동처리로 이뤄진다고 연구원은 관측하고 있다.
일부 보험사에서는 허위 청구, 보험 사기 식별을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딥페이크 탐지 기술을 도입하거나, 문서·영상·음성에서 비정상적인 패턴이나 합성된 흔적을 감지하는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관련기사
- 케이뱅크, 적립식 가상자산 투자 서비스 개발 예정2024.09.27
- 하나은행, 토스플레이스 단말기 신규 구입 시 5만원 지원2024.09.27
- [미장브리핑] '또' S&P500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2024.09.27
- S2W "금융권 노리는 사이버 위협, 매년 85% 증가"2024.09.26
알리안츠는 머신러닝을 통해 허위 데이터를 감지하는 식별 시스템을 구축해 170만파운드(약 31억원)의 피해를 막았으며 취리히보험사는 룰 베이스와 AI 기반 ㅇ네진을 결합해 비정상 행동을 감지하는 보험사기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
한편, 미국은 딥페이크 범죄 피해자를 위한 민사 구제책을 담은 법안을 8월 통과시켰으며 현재까지 40개 주 이상에서 딥페이크 관련 법안이 발의된 상태다. 40개 중 9개 주에서는 형사 처벌 규정을 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