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영리+비영리 법인' 어정쩡한 동거 끝내나

65억 달러 투자 조건으로 기업구조 거론…해체 여부 관심

컴퓨팅입력 :2024/09/16 11:53    수정: 2024/09/16 16:44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 기자 페이지 구독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챗GPT로 유명한 오픈AI가 영리기업과 비영리기업 결합이라는 복잡한 기업 구조를 해체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오픈AI가 65억 달러 규모 자금 유치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로이터를 비롯한 주요 외신들이 1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계획대로 될 경우 오픈AI는 1천500억 달러(201조원) 규모 시장 가치를 인정받게 된다.

그런데 투자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비영리 법인이 영리법인을 통제하는 오픈AI 특유의 기업 구조를 문제 삼고 있다고 외신들이 전했다.

샘 알트먼 오픈AI CEO (사진=지디넷코리아 DB)

■ 알트먼, 직원들에게 "내년에는 기업구조 변경" 공언하기도 

이번 협상과정에서 오픈AI의 독특한 기업 구조를 해체하는 부분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투자자들의 수익 상한선을 폐지하기 위해 비영리법인과 영리법인 결합을 해체할 수 있을 지 여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포천 보도에 따르면 샘 알트먼 공동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직원들에게 내년에는 기업 구조가 바뀔 것이라고 공언하기도 했다.

현재 오픈AI는 비영리법인이 영리법인을 통제하는 구조로 돼 있다. 이런 구조 때문에 이익 상한선을 두게 됐다. 상한선을 넘어가는 이익은 비영리 모회사에 기부한다.

사진=지디넷닷컴

오픈AI의 독특한 구조는 투자자들에겐 불만 요인으로 작용했다. 일정액 이상의 투자 수익을 올리는 것이 불가능했기 때문이다.

대규모 투자 유치에 참여하는 기업들이 오픈AI의 기업 구조를 문제 삼는 것은 이런 상황 때문이다.

로이터통신 보도에 따르면 오픈AI가 기업 구조 변경 작업에 실패할 경우엔 투자 가치를 새롭게 협상해야 할 수도 있다.

■ 이익제한기업 구조 때문에 투자 수익 상한선 적용 

오픈AI는 2015년 첫 발을 내디딜 당시 비영리 조직으로 출발했다. 당시 그들은 인류에게 이익을 주는 방향으로 AI를 개발한다는 비전을 내세웠다.

하지만 이런 기업 구조는 곧바로 현실의 벽에 부착쳤다. 대용량언어모델(LLM)을 훈련하기 시작하면서 자금난에 쪼들리게 된 것이다. 결국 오픈AI는 2019년 ‘오픈AI GP’라는 영리기업을 자회사로 설립했다. 영리기업 설립을 주도한 것이 샘 알트먼이다.

다만 오픈AI는 영리기업으로 완전히 변신하지는 않았다. 어쩔 수 없이 영리 활동을 하긴 하지만, 이익 상한선을 두기로 했다. 상한선을 넘어가는 이익은 비영리 모회사에 기부한다.

그 결과 ‘이익제한기업(Capped-profit company)’이라는 독특한 기업 구조가 탄생하게 됐다. 기업의 모든 주요 의사 결정은 비영리 모회사가 내린다. 투자 수익도 원금의 100배로 제한한다. 초기에 대규모 투자를 한 마이크로소프트가 비영리 모회사인 오픈AI 이사회 의석을 한 석도 갖지 않았던 것은 이런 원칙 때문이었다.

관련기사

하지만 오픈AI는 지난 해 11월 샘 알트먼 축출 사태를 겪으면서 복잡한 기업 구조의 한계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이런 상황에서 대형 투자자들이 기업 구조를 문제 삼으면서 오픈AI 특유의 기업 구조가 해체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김익현 미디어연구소장sini@zdne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