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가 데이터 기반으로 답하는 것을 넘어 실제 추론까지 하는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을 공개한 가운데, 생각의 사슬(CoT) 기법을 통한 추론 기술 고도화가 AI 업계에 필수 역량으로 자리할 것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13일 오픈AI는 AI 추론 능력을 대폭 강화한 새로운 모델 'o1' 프리뷰 버전과 미니 버전을 블로그를 통해 공개했다.
o1은 과거 오픈AI 내부에서 '스트로베리'라는 암호명으로 불렸던 모델이기도 하다. 이전 모델보다 더 복잡한 문제를 처리할 수 있으며 수학과 코딩 등 기술적 문제 해결에 강점을 보인다. 국제 수학 올림피아드 예선에서 'GPT-4o'는 13%의 문제를 해결했으나 'o1'은 83%의 문제를 정확히 풀어냈다.
현재 챗GPT 플로스 고객과 챗GPT 팀즈 고객만 o1을 이용할 수 있다. 이 모델은 챗GPT 기업 고객 대상으로는 제공되지 않는다. 질문 가능 횟수는 사용자당 일주일에 30회까지다.
"생각의 사슬 필수요소...강화학습 뜬다"
전문가들은 AI 업계가 CoT를 필수 패러다임으로 갖출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해당 과정에 포함된 강화학습(RL)방법이 재주목받을 것이라는 의견도 나왔다.
업스테이지 박찬준 수석연구원은 "앞으로 CoT를 다양하게 구성하고 이를 학습 과정에 잘 녹여내는 패러다임이 필수일 것"이라며 "이로 인해 강화학습이 다시 떠오를 것"고 강조했다.
CoT는 생성형 AI가 복잡한 문제를 세분화해 오류를 수정하고 실수를 인정하며 해답 찾는 과정을 뜻한다. 복잡한 문제를 낱개로 잘라 하나씩 답을 푸는 형태다. 이를 통해 복잡한 문제도 차근차근 해결한다.
이는 마치 사람이 어려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오랫동안 생각하는 것처럼 생각의 꼬리를 무는 형식이다. 챗GPT-4o 등 기존 챗봇보다 답변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더욱 자세하고 정확한 답변을 얻을 수 있는 이유다.
CoT 기법에 RL방법론이 적용된 것으로 알려졌다. AI가 복잡한 문제를 세분화해 하나하나 차근차근 풀면서 최종 정답과 가장 가까운 방향으로 간다는 이유에서다. RL방법은 CoT을 통해 AI에 생산적으로 사고하는 방법을 모델에 가르치는 셈이다.
오픈AI는 RL을 통해 o1 성능이 지속적으로 향상되는 것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오픈AI 미라 무라티 최고기술책임자(CTO)는 "o1의 추론 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RL을 선택했다"며 "모델이 정답을 맞히면 긍정적인 피드백을, 틀릴 경우 부정적인 피드백을 주는 식으로 기능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김동환 포티투마루 대표는 "o1이 CoT 기법을 활용한 복합 추론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수학을 비롯한 과학, 생명공학 분야에서의 난제 해결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서 LLM을 개발하는 한 업계 관계자도 "생성형 AI가 CoT와 RL로 사람처럼 생각하는 법을 학습했다"며 "기존 데이터 기반으로 답변을 찾아내는 것에서 실제 추론 단계로 넘어갔는지에 대한 평가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B2B·B2C 사업 전략 뚜렷...상용화에 GPU 확보 관건"
업계 관계자들은 기업용 o1 정식 버전 가격이 상당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오픈AI B2C와 B2B 비즈니스에 대한 경계가 뚜렷해지면서 수익화에 다양성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내서 LLM 사업하는 한 관계자는 "앞으로 오픈AI 고객은 기존 비용으로 챗GPT-4o까지 사용하는 부류와 높은 비용으로 좋은 결과물을 얻고자 하는 부류로 나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오픈AI 서비스가 다양화돼서 B2B·B2C 비즈니스 전략에 차별화가 생길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오픈AI, AI 추론의 새 시대 연다…'o1' 전격 공개2024.09.13
- [써보고서] "정말 미쳤다"…오픈AI 新모델 'o1' 추론 능력에 '감탄'2024.09.13
- 오픈AI, 새 AI 모델 '스트로베리' 곧 출시…"신중하게 고민한 뒤 답변"2024.09.11
- 18년만에 망분리 규제 완화…"제로 트러스트 역할 커진다"2024.09.12
최근 외신은 오픈AI가 o1 모델을 기업용으로 출시할 경우 가격을 매월 2천 달러(약 266만원)로 책정할 것이란 소식을 내부 관계자 말을 인용해 보도한 바 있다.
오픈AI가 모델 상용화를 위해 중앙처리장치(GPU) 확보에 혈안일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박찬준 수석연구원은 "고도화된 추론으로 GPU 추가 확보가 불가피할 것"이라며 "샘 알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GPU를 더 확보하려는 이유가 o1 상용화에 있을 것으로 본다"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