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온라인 투표 보안회사가 시스템 버그바운티를 진행하며 결함을 찾아내는 해커들에게 1만 달러(약 1천364만원)의 상금을 제안했다. 다만 완전한 전자 민주주의를 위해선 보안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아 실현 가능성은 아직까지 낮다는 전망이다.
11일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온라인 투표 회사 '보안 인터넷 투표(SIV)'는 전 세계 해커들을 라스베이거스로 초청해 새로운 온라인 투표 플랫폼에 대한 기술 취약점 버그바운티를 진행했다.
버그바운티란 기업 서비스, 소프트웨어(SW), IT 인프라를 해킹하고 보안 취약점을 발견해 최초 신고한 보안 연구원 및 화이트 해커들에게 포상금이나 기타 보상을 지급하는 침투 테스트 해커톤이다.
온라인 투표는 장단점이 명확하다. 선거 결과를 산출하는 데 수개표보다 훨씬 적은 시간이 소요되며 투표자가 투표소까지 가지 않는 등 편리한 장점은 전자 민주주의 측면에선 인정받는 요소다.
대학교 내 총학생회 선거에서 온라인 투표를 경험해 본 대학생 김지훈(22·가명) 씨는 "주민등록번호 앞자리를 입력한 후 내가 원하는 후보자를 고르기만 하면 투표가 완료돼 편리했다"며 "선거 결과도 바로 나와 유권자 입장에선 만족스러웠다"고 말했다.
문제는 여전히 보안이다. 선거 데이터베이스가 해킹되거나 투표 시스템, 결과 산출에 결함이 발생할 경우 혼란스러운 상황이 생긴다. 불과 수백 표 차이로 당락이 결정되기도 하는 지방선거 등은 이러한 결함이 더 치명적일 수밖에 없다. SIV가 해커들에게 오류 건당 1만 달러(약 1천364만원)라는 거액의 상금을 걸고 버그바운티를 진행한 이유다.
프로그램 제작자도 단점을 인정했다. SIV 관계자는 "미국 전역의 소규모 시범 프로그램에서 온라인 투표가 시행되는 중"이라면서도 "대부분 주에서는 보안 문제로 온라인 투표의 광범위한 사용을 허용하지 않고 오류 발생 시 충분한 검토가 가능한 종이 투표를 선호한다"고 보도했다.
특히 대선을 앞둔 미국은 온라인 투표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이다. 오는 11월 미국 대선과 의회 선거가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6년과 2020년 러시아 해커들이 미국 선거 사무소를 표적으로 해킹을 시도했던 사례도 존재한다.
외신들은 미 안보 고위 관리들을 중심으로 러시아와 이란이 온라인 상으로 영향력을 펼치는 것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미 선거 공정성 재단 해리 허스티 어드바이저는 "온라인 투표가 광범위하게 확산되려면 수십 년이 필요할 수 있다"며 "현 인류의 생애 동안 이것이 이뤄질 수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오픈AI, 대규모 선거 앞서 가짜뉴스 등 AI악용 막는다2024.01.16
- 22대 총선 잠정 집계 투표율 67%2024.04.10
- 어디서 투표하지?...‘투표소 찾기 연결 서비스’ 검색하세요2024.04.09
- 정부, 4월 총선 대비 투표 시스템 상황점검2024.03.21
국민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배병인 교수는 "온라인 투표는 전자 민주주의 측면에선 인정을 받았다"면서도 "하지만 본인 확인 과정에서 조작 우려나 개인정보 관리 측면의 정보 보안 문제가 여전히 큰 문제"라고 말했다.
이어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접근이 되지 못하는 사람들에겐 온라인 투표 자체가 큰 진입장벽이 될 수 있다"며 "키오스크나 스마트폰 울렁증이 있는 사람들, 전자기기 사용이 어려운 노인 계층 등에게 투표 접근 자체가 차단될 수 있는 것은 전자 민주주의가 들여다봐야 하는 투표 권리상 치명적인 단점"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