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디지털교과서, 새로운 학습환경으로 변화 가능 할까

AWS 퍼블릭 섹터 데이 서울 "원하는 교육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환경 기대"

컴퓨팅입력 :2024/07/04 16:28

2025년부터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교과서 도입이 본격화된다.

AI 기반 디지털 교과서 도입은 각 학생에 최적화된 맞춤형 교육을 제공해 학습결손을 최소화하고 학습동기를 유발해 주도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반면 집중력 및 시력 저하, 미디어 중독 등의 우려로 이러한 전환에 우려의 목소리를 내는 사례도 상당수다. 최근 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을 유보해줄 것을 요청하는 청원이 국민동의청원에 올라오기도 했다.

이에 AWS는 AI디지털교과서 정식 도입에 앞서 보다 효율적인 교육을 위해 무엇이 필요하고 어 현재 변화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 지 업계 전문가들과 의견을 나눌 자리를 마련했다.

(왼쪽부터) AWS 김태형 에듀테크 어카운트 매니저, 김기영 아티피셜소사이어티 대표. 충남교육청 김재동 미래인재과 장학관, 서울시교육청 박재원 교육연구정보원

이날 토론회 참가자들은 AI교과서가 학생들의 학습 결손을 해결해 학습부진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다만 이를 위해선 환각 현상 등을 해결하고 학습동기를 강화하기 위한 요소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마존웹서비스(AWS)는 4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최한 'AWS 퍼블릭 섹터 데이 서울 2024'에서 'AI가 바꿀 교실의 미래'를 주제로 패널 토의를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는 AWS 김태형 에듀테크 어카운트 매니저 사회로 김기영 아티피셜소사이어티 대표. 충남교육청 김재동 미래인재과 장학관, 서울시교육청 박재원 교육연구정보원이 참석해 의견을 나눴다.

김재동 장학관은 "현재 디지털교과서는 현장에서 잘 받아들여지지 못했지만 생성형 AI의 도입은 누구나 원하는 교육을 제공받고 주도적인 교육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완전히 새로운 교육 환경이 탄생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AI디지털교과서에 대한 의견을 밝혔다.

김 장학관은 AI디지털교과서가 학습이 느린 학습자나 여건이 어려운 학생도 수준에 맞춰 학습 진도나 내용을 조절할 수 있는 만큼 보다 효율적이고 학생 친화적인 교육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는 “교육과정 자체가 학습이 누적되는 나선형으로 설계된 만큼 개인적인 요인이나 사회적인 요인으로 학습 결손이 발생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격차가 크게 발생하게 된다”며 “그래서 AI디지털교과서가 이런 학습결손이라는 부분을 메워주는 것에 역할을 하는 것을 현장에서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장점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 AI 편향성과 환각 효과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학습을 위해 쓰이는 교과서에서 잘못된 정보를 제공한다면 심각한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박재원 교육연구정보원은 “100만 분의 1이라도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은 존재한다”며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것은 항상 염두하고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AI디지털교과서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김재동 장학관도 “나도 유럽연합(EU) 출범당시 개인적인 혼선으로 인해 유럽연합을 유럽위원회(EC)라고 잘못 가르친 부끄러운 기억이 있다”며 "생성형 AI가 잘못된 사실을 전달한다면 학생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는 만큼 정확한 사실을 전달할 수 있도록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더불어 미디어 중독 등의 우려에 대해선 AI등을 활용해 공부에 집중할 수 있는 학습 동기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기영 대표는 “결국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동기가 부족한 학생들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며 “이를 위해 어떠한 보상이나 흥미 요소 등을 AI 등을 활용해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기존에 교육을 위한 앱을 만들어 제공했을 때 단순히 교육 일정을 짜고 알림을 울리는 것만으로는 공부 효율을 가시적으로 높이기 어려웠다”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꾸준히 접속할 때마다 어떤 혜택이 제공되거나 흥미를 느끼는 요소를 제공해 진입 장벽을 낮추는 것이 가장 우선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동 장학관은 기존 학습 성취도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AI와 데이터 분석 등을 활용해 학생들이 배우는 과정 자체를 돕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여러 학생이 같은 문제를 풀었을 때 누군가 해당 문제를 풀지 못했다면 어디에 문제가 있는 건지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이어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AI등을 통해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어서 “특히 우리가 미래학습자에게 것이 요구하는 것은 협력과 공유 그리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것”이라며 “수업이 이뤄지고 있는 교실 안에서 AI 디지터 교과서를 통해 어떻게 상대와 협력하고 공유할 것인지 등의 내용이 담기고 강조된다면 더욱 발전적인 교육이 이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끝으로 박재원 연구원은 AI교과서는 어디까지나 교사의 학생 지도를 위한 도구인 만큼 교사가 직접 교과서의 내용을 편집할 수 있는 자율성을 보장할 것을 강조했다. 더불어 교사들의 적극적인 교육 참여를 독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