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5~6년, 통신·전파 배워 FM라디오 만들어 가세요"

국립과천과학관-전(자)파 관련 4개 기관, 오는 8월 '전파교실' 열어

과학입력 :2024/06/24 11:00    수정: 2024/06/24 14:52

국립과천과학관(관장 한형주)이 24일 과천서 전자·전자파 전문기관 4곳과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초등학생 대상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협약 대상은 ▲중앙전파관리소(소장 김정삼) ▲국립전파연구원(원장대행 김희원)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원장 이상훈) ▲한국전파진흥협회(상근부회장 홍정수) 등이다.

이들은 향후 과학관의 교육인프라와 전(자)파 관련 기관 전문성을 기반으로 다양한 전(자)파 관련 콘텐츠를 발굴·보급할 예정이다.

과천과학관과 전(자)파 전문 기관이 24일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왼쪽부터 한국전파진흥협회 송정수 상근부회장, 국립전파연구원 김희원 원장직대, 중앙전파관리소 김정삼 소장, 국립과천과학관 한형주 관장,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이상훈 원장.(사진=과천과학관)


과천과학관 측은 "첫 사업으로‘놀러와 전파 탐험대(이하 전파교실)’를 추진한다. 전파교실은 보이지는 않지만 우리 일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전(자)파에 대한 과학적 이해와 알려지지 않은 진실을 탐구하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파교실은 초등 5~6학년 300명을 대상으로 올해 3회에 걸쳐 회차별 이틀 과정(비숙박)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1회차는 8.8.(목)~8.9.(금), 2·3회차는 11월 전파진흥 주간에 국립과천과학관에서 운영된다.

1회차 행사에서는 기관 간 협력사업 추진을 축하하는 의미로 국립전파연구원에서‘테레민 연주’를 선보인다. 테레민 연주는  두 개의 안테나 사이에서 생기는 전자기장의 간섭을 이용한 악기다.

관련기사

교육과정은 △통신원리와 라디오 만들기 △모스 전신기 사용법 △이동통신 중계기 전자파 바로알기 등이다.

국립과천과학관 관계자는 “자율주행이나 무인로봇 등 미래 핵심기술에 사용되는 전(자)파 과학에 대해 아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했다.

과천과학관이 24일 전(자)파 관련 기관과 업무협정을 체결했다. 참석자들이 기념촬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