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성 얼음 달 ‘유로파’ 고해상도 사진 공개..2000년 이후 최초 [우주로 간다]

과학입력 :2024/05/18 10:50    수정: 2024/05/18 18:25

미국 항공우주국(NASA) 목성 탐사선 주노가 얼음 위성 ‘유로파’의 고해상도 사진을 촬영해 공개했다고 우주과학매체 스페이스닷컴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사진은 2022년 9월 29일 주노가 유로파의 고도 355km 상공에 접근해 비행하는 동안 주노캠 카메라로 촬영한 것이다. 이번에는 낮은 빛 환경에서도 촬영이 가능한 ‘SRU’(Stellar Reference Unit)의 저조도 기능을 사용해 유로파의 밤 시간 모습도 촬영했다.

2022년 9월 주노가 유로파를 지날 때 촬영한 고해상도 사진 (출처= NASA/JPL-칼텍/SwRI/MSSS)

이번에 공개된 사진들은 2000년 NASA 갈릴레오 우주선의 마지막 비행 이후 공개되는 최초의 유로파 고해상도 사진이다.

SRU는 유로파에서 '오리너구리'(platypus)라는 별명이 붙은 특이한 지형을 포착했다. 이 곳은 얼음 덩어리와 능선, 황갈색 얼룩이 뒤죽박죽 뒤섞인 지형으로, 과학자들은 이 지역이 소금기가 있는 액체가 표면으로 스며들면서 얼음 지각을 부분적으로 녹이는 지역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SRU 기기에서 본 오리너구리(오른쪽 하단의 이상한 모양). 그 위에는 극저온 화산 기둥과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제안된 한 쌍의 능선이 있다. (출처=NASA/JPL-칼텍/SwRI)

이 지형은 약 37x67km에 달하는 거대한 크기로, 목성의 위성 중 가장 젊은 지형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오리너구리에서 북쪽으로 약 50km 떨어진 곳에는 어두운 얼룩으로 둘러싸인 두 개의 능선이 보인다. 이 지역은 약 200km 높이에 이르는 수중기 기둥의 발원지로 추정되고 있다.

(출처= NASA/JPL-칼텍/SwRI/MSSS)

“이 특징들은 현재 유로파의 표면 활동과 지하 세계에 액체 물이 존재하는 것을 암시한다"고 NASA 제트추진연구소 SRU 수석 공동 연구자 하이디 베커는 밝혔다.

또, 그는 유로파가 올해 말 발사되는 NASA의 유로파 클리퍼(Eurupa Clipper) 임무와 이미 목성으로 향하고 있는 유럽우주국(ESA)의 'JUICE(주스, Jupiter Icy Moons Explorer)' 우주선의 주요 목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유로파 클리퍼 탐사의 초점은 바로 유로파가 생명체가 살기에 적합한지를 조사하는 것으로 올 가을 발사돼 2030년 목성에 도착할 예정이다. 주스 우주선은 작년 4월 발사돼 2031년 목성에 도착해 목성의 큰 위성들을 조사할 예정이다.

주노캠이 촬영한 유로파 사진을 포함한 해당 연구결과는 최근 국제학술지 행성과학저널(Planetary Science Journal)에 발표됐으며, SRU 결과는 지구물리학연구저널(JGR Planets)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