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납부한 주택담보대출 이자가 아까워서라도 지금은 도저히 못 팔겠어요. 기다리면 언젠가는 전고점까지 회복하겠죠."
최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이 상승으로 돌아서면서 2030 영끌족(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들이 버티기에 들어가는 모습이다. 올 초까지만 해도 가파른 집값 하락에 높은 대출 이자 부담으로 패닉셀링(공포에 의한 투매)에 나섰다면 지금은 팔지 않겠다는 것이다.
특히 미국의 기준 금리 인하가 임박하고, 정부의 아파트 대환대출 확대 시행 등으로 숨통이 트이면서 당분간 버틸만한 여건이 조성됐다는 설명이다.
2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3월 넷째 주(25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 대비 0.0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12월 첫째 주 하락 전환한 이후 17주 만이다.
이 가운데 마포구(0.12%), 중구(0.05%), 송파구(0.05%) 등 전체 25개 구 가운데 12개 구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 다른 지역들은 보합이거나 하락폭이 축소되면서 보합 전환을 앞두고 있다.
함영진 우리은행 자산관리컨설팅센터 부장대우는 "서울이 상승으로 돌아선 건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과 대기수요가 많은 지역의 급매물 소진으로 1분기 거래가 일부 회복했던 요인이 가격에 반영됐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하락에 제동이 걸리면서 상당수 영끌족이 한숨을 돌리게 됐다.
특히 서울 아파트값이 정점으로 치달았던 2022년 상반기 내 집 마련에 뛰어들었던 청년들은 더 이상 집을 팔 요인이 사라졌다고 말한다.
서울의 거주는 직장인 최모(35세) 씨는 "작년까지만 해도 담보대출 이자에 원금 상환까지 너무 버거워 하루빨리 집을 팔아버리고 싶었지만, 지금은 '굳이 팔아야 하나'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차피 서울에 살집은 있어야 하는데, 요즘 아파트 전셋값이 너무 올랐고, 월세도 100만 원이 우습다"고 덧붙였다.
실제 이번 주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평균 0.07% 오르며 45주 연속 상승 흐름을 이어갔다. 또 지난해 서울 아파트 임대차 월세 계약 3건 중 1건은 월세 100만 원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으로 최근 시중 은행권 주택담보대출 이자가 3%까지 내려오고, 정부의 아파트 대환대출 확대 시행 등으로 금융비용 부담이 줄어든 점도 영끌족의 입장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출시 이후 평균 금리인하 폭은 1.54%포인트, 이자 절감 효과는 1인당 연간 약 153만 원의 효과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 혜리 "태연과의 첫 만남에 고민 상담하고 울어"2024.03.30
- '극단 시도' 아름 "아무것도 모르면서 사기꾼으로 몰아가"2024.03.30
- 슬리피, 결혼 2년 만에 득녀 "더 큰 책임감 갖고 살겠다"2024.03.30
- '장동건♥' 고소영 "과거 혼전 출산 루머에 충격…큰 상처"2024.03.30
송승현 도시와경제 대표는 "2030 청년들은 금융 비용 위험도 노출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세대"라며 "대환대출 서비스 등으로 금융 비용을 낮추게 됐다면 집을 팔려고 하기보다 보유하려는 경향이 나타날 수밖에 없다. 결국 그런 것들이 집값의 하방 지지선 역할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제공=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