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우려하던 일이 터졌다. 24일 의료계의 커뮤니티에 부산대병원의 안과 교수가 사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애도가 이어지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3월24일 자정 부산대병원의 40대 안과 교수가 지주막하출혈(S-SAH)로 인근 병원의 응급실에 DOA(dead on arrival. 도착 당시 사망상태)로 들어가 1시간 CPR(심폐소생술)에도 돌아오지 않아 사망했다고 한다.
해당 교수의 직접적인 사망 원인이 확인되지는 않았지만 의료현장의 의사들이 업무과중을 호소한 만큼 과로사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해당 글은 같은 병원의 교수가 전한것으로 보이는데 ‘지금 본원 안과 의국은 그로기 상태로 보여집니다…교수님들께서도 건강 잘 챙기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저도 지난 수요일부터 SBP 170 이상 나와 혈압약을 꾸준히 복용하고 있습니다’라고 전했다.
그동안 정부는 중증 응급환자 중심의 비상진료가 차질 없이 진행되고 있다고 밝혀왔다. 하지만 의료현장에서는 주 2일 이상의 당직을 서는 현 의료상황에서 의료진에게 잠시라도 쉴 수 있는 여건조차 마련해주지 않은 채 '공중보건의와 군의관을 더 투입하겠다. 현장을 지켜줘 감사하다'는 말만 지속해온 정부에 책임을 추궁할 가능성이 커졌다.
조규홍 보건복지부장관은 24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사고수습본부 회의에서도 “전공의가 병원을 이탈하며 국민이 많이 우려하는 상황에서 의대 교수님들이 국민의 우려를 가중하지 않도록 환자 곁을 지켜주시기 바란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의료현장에서는 오래전부터 더 이상 버틸 여력이 없다고 호소해온 상황이다. 앞서 지난 21일 전국의과대학 교수협의회(이하 전의교협)의 조윤정 홍보위원장은 언론 브리핑을 통해 “정부의 모 인사가 의사가 없으면 전세기 띄워 환자를 치료받도록 하겠다고 말한 것처럼 전세기 띄어 외국에서 진료의사를 데려왔으면 한다”며 “의료현장은 언제 사고가 터질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한 바 있다.
그는 “현장의 의료진들의 심리적, 신체적 한계치가 넘어섰다. 피로감 누적으로 환자도 위험에 노출돼 있어 정상적인 진료가 불가능하다”라며 “환자를 제대로 진료하고 치료하기 위해 3월25일부터 주 52시간 이내에서 외래진료와 수술. 입원치료를 유지하고, 4월1일부터는 응급 및 중증환자의 안정적 진료를 위해 외래진료를 최소화 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와 별개로 25일부터 각 대학별로 의대 교수들은 자발적 사직서 제출을 진행한다는 계획으로 여기에는 대부분의 대학 교수들이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안타깝게도 이 같은 내부 결의 조치가 시행되기 하루 앞서 의료현장에서 지켜오던 의사가 사망한 것으로 알려지며 향후 의료현장도 새로운 국면을 맞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운데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4일 전의교협 관계자들과 만난 뒤 대통령실에 의료현장을 이탈한 전공의들의 면허정지 행정처분을 유연하게 처리해달라고 요청했고, 이에 대해 윤석열 대통령은 “당과 협의해 유연한 처리방안을 모색해 달라”고 한덕수 국무총리에게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건복지부 역시 대통령실에서 이 같은 입장이 나오자 같은 날 오후 의료공백이 최소화되도록 의료현장을 이탈한 전공의의 행정처분에 대한 유연한 처리방안을 당과 협의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국조실과 협의해 의료계와 대화를 위한 실무 작업에 착수했으며 빠른 시간 내에 대화가 시작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에 대해 전의교협은 “금일 전의교협 회장단 간담회 관련해 25일 브리핑에서 발표할 예정”이라고만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