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SW국장에 행안부 황규철 국장 임명

부처 인사교류 차원서 2월 29일자로...정보화지원과장, 정보보호과장, 공공지능정책관 등 거친 기술전문가

컴퓨팅입력 :2024/03/01 16:33    수정: 2024/03/01 17:40

소프트웨어(SW) 중심 사회와 소프트웨어강국 코리아를 총괄하는 과기정통부 SW정책관(국장)이 바뀌었다. 정부가 부처간 벽을 허물어 협업을 촉진하기 위해 만든 고위공무원(국장급) 인사교류로 행정안전부(행안부) 황규철 재난안전정보센터장이 지난달 29일자로 전보 차원에서 과기정통부 SW정책관에 임명됐다.

연세대학교에서 컴퓨터를 전공한 황 국장은 기술고시(전산) 31회(행시 39회에 해당)로 공직에 입문, 행안부내에서 서보람 디지털정부 실장과 김회수 디지털정부정책 국장과 함께 대표적인 기술전문가로 꼽힌다. 행안부에 있으면서 공무원 모바일 신분증 도입 등 데이터 관련 여러 업무와 정보보호, 재난안전 분야를 맡아 정부 디지털화에 기여했다.

2008년 5월에는 기술서기관으로 국가기록원에서 근무했고 이어 2010년 과장으로 승진, 이 해 2월 지식제도과장을 시작으로 정보화지원과장, 정보보호정책과장을 거쳤다. 2022년 8월 공공지능정책관으로 국장 승진했다. 작년 10월에는 행안부가 재난 관련 IT부서 3개를 통합해 만든 재난안전정보센터의 초대 센터장에 선임됐다.

황규철 행안부 재난안전정보센터장이 2월 29일자로 과기정통부 SW정책관에 임명됐다. 사진은 작년 4월 열린 국회 행사에서 당시 행안부 공공지능정책관이였던 황 국장이 이야기를 하는 모습.

 황 국장은 지난해 4월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공공행정 AI 도입방안 모색 포럼'에서 공공지능정책관으로 참석해 "챗GPT같은 언어모델은 100% 맞는 답변을 낼 수 없다. 정부 내부에서 오류를 바로 수정할 수 있는 분야에 배치해 기능을 올리고 오류를 바로잡겠다"면서 "신뢰성과 정확성에 대한 문제 위험성이 적은 분야에 AI 모델을 우선 적용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어 AI를 공공에 적용할 때는 많은 구축 비용이 든다면서 "민간과 협업해 효율적인 방식으로 적용 분야 확대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당시 AI모델에 들어갈 학습데이터 구축방안도 고려해야 한다면서 "데이터는 개인정보 관련한 이슈를 모두 제거한 후 활용해야 한다. 이를 통해 AI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는 데이터 학습 방법을 논의해야 한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관련기사

지자체의 모바일 공무원증 도입에도 기여했다. 행안부는 2022년 9월말 모바일 공무원증 도입을 희망한 220여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모바일 공무원증을 발급했는데, 플라스틱 공무원증과 달리 모바일 공무원증은 온라인에서도 신원증명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행정전자서명(GPKI) 없이 공직자통합메일, 정부원격근무서비스(GVPN) 등의 업무시스템에 접속(로그인)할 수 있다. 당시 황 국장은 “모바일 공무원증의 지방자치단체 확대로 지방자치단체 업무환경의 혁신 변화가 더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 행안부 지식제도과장일때 민원신청 서류 스타일을 규정한 '사무관리규정 및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 주민등록과 자동차와 관련한 민원 서류 40종의 스타일을 보다 편리하게 개선했다. 당시 민원신청 서류 디자인을 바꾼 건 정부가 설계기준을 만든 1961년 이후 처음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