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세계 규범 한국이 주도"···과기정통부, 1차 자문단 회의

박윤규 2차관 주재 16일 행사...산학연 전문가 20여명 참석

컴퓨팅입력 :2024/02/16 10:00

우리나라가 세계 인공지능(AI) 규범 주도에 나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AI 글로벌 규범 자문단' 제1차 회의를 16일 오전 10시 서울 스페이스에이드 CBD에서 개최했다. 이번 자문단은 오는 5월 우리나라에서 열리는 'AI 안전성 정상회의(이하 정상회의)'를 정부와 함께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정상회의 주요 논의와 합의점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 산업계・학계의 목소리를 제시한다.

앞서 작년 11월 영국 블레츨리 파크에서 '1차 정상회의'가처음으로 개최됐다. 당시 주요국 정상과 각료급 인사, 빅테크 CEO 및 글로벌 석학 등이 참석해 AI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민간의 역할과 공조 방안을 논의했다. 이의 후속 조치로 요수아 벤지오 교수가 담당하는 '과학현황보고서' 작성에 우리나라 이경무 교수(서울대), 오혜연 교수(카이스트)가 참여하고 있다. 또 영국・미국・일본 등 주요국과 마찬가지로 AI 안전성 연구와 평가를 담당하는 ‘AI 안전 연구소’ 설립도 추진한다.

생성형 AI, 온디바이스 AI 등 AI가 기술적 발전을 거듭하면서 일상생활과 사회, 산업 전반으로 확산하고 있으며, 거짓정보와 딥페이크, 사이버 보안 위협 등 고도화 AI가 초래할 수 있는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우려 목소리도 커져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UN 고위급 자문기구, G7 AI 히로시마 프로세스, 미국 AI 행정명령, EU AI 법 등 국제사회와 주요국에서 AI 규범을 정립하는 노력이 본격화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디지털 기술과 산업 역량을 인정받아 아시아의 AI 강국으로 차기 정상회의를 열게 됐고, 세계적으로 AI가 안전하게 확산할 수 있게 국가, 기업 역할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주도해 나갈 방침이다.

박윤규 과기정통부 차관이 한 행사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날 킥오프 회의에는 박윤규 과기정통부 차관, 산학연 전문가 20여 명이 모여 제1차 정상회의 결과를 공유하고, 제2차 정상회의의 주요 목표와 세부 내용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AI 안전성 평가, 기업이 취해야 할 조치, 고성능 AI의 사회적 위험성 등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국내 AI 산업 환경에서 실현할 수 있는 글로벌 차원의 AI 안전성 확보 및 AI 막대한 전력소요‧탄소배출 등에 대응하기 위한 에너지 안전성 확보 등 지속가능한 AI 발전을 위한 제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관련기사

과기정통부는 자문단과 대면, 영상회의를 수시로 개최해 정상회의 목표, 의제 등을 설정‧구체화하고, 우리나라 AI산업 육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방향으로 공동 개최국인 영국과 정상회의 참석 국가들과 협의해 나갈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박윤규 차관은 “이번 'AI 안전성 정상회의' 개최는 우리나라가 글로벌 AI 규범 및 거버넌스 정립에 기여하고 전 세계와 함께 AI 혜택을 안전하게 누릴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기존 방향성 중심의 AI 이니셔티브에서 나아가 구체적인 AI 안전성 확보를 위한 글로벌 논의를 주도하고 이 과정에서 우리나라 산업계・학계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국내 AI 산업 발전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