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먹는 하마' 데이터센터, 글로벌 확대 제동 걸릴까

미국 등 주요 국가서 新 데이터센터 증설 규제 속속 도입…전력 소비 폭증에 환경 문제 '심각'

컴퓨팅입력 :2024/02/13 09:49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데이터센터가 전 세계 각 정부의 규제 압박으로 확대에 제동이 걸렸다. 

13일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아일랜드를 비롯해 독일, 싱가포르, 중국, 네덜란드, 미국 일부 주는 최근 몇 년새 신규 데이터센터 증설에 대한 규제를 속속 도입하고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사용에 따른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가 폭증하면서 환경 문제가 불거지고 있어서다.

실제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발표한 '2024년 전기 보고서'는 2022년 전 세계 데이터센터에서 사용된 전력이 전체 전력 수요의 2%에 해당하는 460테라와트시(TWh)라고 파악했다. 2026년에는 소비량이 620~1천50TWh까지 늘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전 세계 8천여 개 데이터센터 중 약 33%가 있는 미국과 16%를 차지하는 유럽, 10%가 위치한 중국에서 에너지 사용량은 더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월가 대표 투자은행 모건스탠리는 2022년 수치를 기준으로 2027년에는 생성형 AI가 전 세계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의 4분의 3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구글 벨기에 데이터센터(이미지=구글)

시장조사기관 델오로는 오는 2027년까지 데이터센터와 관련한 전 세계 투자액이 5천억 달러를 초과할 것으로 봤다.

현재 가장 많은 데이터센터가 몰려든 곳은 낮은 법인세가 강점인 아일랜드로, 82곳에 달했다. 여기에 14개가 건설 중이며 40개가 추가 승인된 상태다. 이 탓에 아일랜드 국가 전력 소비의 5분의 1을 데이터센터가 차지하게 됐고, 2026년에는 국가 전력 수요의 32%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에 아일랜드 당국은 지난해 겨울철 일시적으로 전력 공급을 중단하는 긴급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최근에는 엣지코넥스(EdgeConneX), 에퀴닉스(Equinix) 등 일부 데이터센터 운영사들의 더블린 신규 프로젝트 허가가 거부됐다.

미국 버지니아주와 독일에서도 최근 주거 지역 내 데이터센터 허가를 제한하거나 재생 에너지를 전력망에 공급하고 폐열을 재사용하도록 하는 등의 규제를 도입했다. 또 미국 최대 전력 공급망 운영 업체인 PJM은 지난해 12월 버지니아주에 50억 달러를 들여 송전망 증강에 나섰다. 데이터센터들이 들어서며 전력 전망이 불안정해지자 인프라 정비에 들어간 것이다.

영국계 대형은행 바클레이즈는 "정부가 인터넷 사용 증가가 전력망에 미치는 영향을 아직 고려하지 않고 있다"며 "향후 몇 년 동안 다른 곳에서도 비슷한 '심각도와 빈도'의 규제가 예상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아마존 등 대형 하이퍼스케일러(대규모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들은 최근 풍력, 태양 에너지 등에 투자하고 나섰다. 마이크로소프트는 버지니아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수요를 최대 35% 충당할 수 있는 '소형 모듈 원전(SMR)'을 짓겠다는 계획을 밝혔고, 미국 민간 핵융합 연구회사인 헬리온과도 전력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아마존은 데이터센터에 사용되는 디젤 연료를 대체하기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아일랜드, 스웨덴을 시작으로 유럽 내 모든 데이터센터의 백업 발전기를 빠른 시일 내에 폐유로 만든 바이오 연료로 전환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구글은 미국 오리건주, 네브래스카주, 미국 남동부 지역에서 폭염, 혹한 등 날씨 변화에 맞춰 데이터센터의 전력망에 차질이 있을 경우를 대비해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 방법을 시범적으로 시행 중이다. 번역 시 어휘 업데이트와 같이 긴급하지 않은 작업을 지연하거나 다른 위치의 데이터센터로 넘기는 식이다. 

바클레이즈 관계자는 "친환경으로 전환하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며 "데이터센터 운영자와 관련 기업들은 앞으로 더 많은 재생 에너지를 생산하고 에너지 효율화 조치를 취하는 등 더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