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OECD 디지털 정부평가 2회 연속 '종합 1위'

아시아 국가 중 유일한 톱10..덴마크 영국이 2·3위 랭크

컴퓨팅입력 :2024/01/31 09:20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국제 디지털정부 평가에서 2회 연속 종합 1위를 기록했다.

행정안전부는 30일 OECD에서 실시하는 2023년 디지털정부 평가에서 우리나라가 이같은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OECD는 지난 2019년 처음으로 회원국들의 정부·공공부문 디지털전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디지털정부 평가를 신설했다. 평가는 월드컵처럼 4년 주기로 발표한다.

우리나라는 2019년에 디지털정부 평가 1위에 이어, 올해 발표한 제2회 평가에서도 종합 1위를 차지했다. 덴마크와 영국이 2, 3위로 뒤를 이었다. 

종합평가지수의 경우 우리나라 0.935점(1점 만점)으로 2019년 0.742점에서 0.193점이 올랐다.

지난 1회 평가에서 한국(1위, 0.742)과 영국(2위, 0.736점)의 점수 격차가 0.006점이었다. 이번 평가에서는 한국(1위, 0.935점)과 덴마크(2위, 0.811점)는 0.124점으로 격차를 더욱 벌렸다.

고진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장이 지난 19일 오후 서울 중구 더존비즈온 을지타워에서 열린 '함께하는 AI의 미래' 공공부문 초거대 AI활용 추진 현장 간담회에서 현황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공동취재단)

이번 결과를 살펴보면, 2019년 평가결과 상위 10개국 중 지난해에도 상위 10위 안에 포함된 국가는 6개 국가로, 40%가 바뀌는 등 큰 변화가 있었지만 우리나라는 2회 연속 1위를 차지하며 성과를 인정 받았다.

상위 10개국 중 아시아 국가는 2019년 한국(1위)과 일본(5위) 2개 국가였지만 이번 평가에서는 우리나라가 유일했다.

6개 부문은 ▲디지털 우선 정부 ▲데이터 기반 정부 ▲플랫폼 정부 ▲개방형 정부 ▲국민 주도형 정부 ▲선제적 정부다.

평가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6개 부문 중 데이터기반 정부, 플랫폼 정부, 개방형 정부, 선제적 정부 4개 부문에서 1위였고, 디지털 우선 정부, 국민 주도형 정부 나머지 2개 부문도 2위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2019년 제1회 평가와 비교해 보면 전반적으로 점수가 대폭 상승했고 부문별 최저 12위였던 순위도 지난해 평가에서는 1위 4개 부문, 2위 2개 부문으로 상승했다.

데이터 기반 정부는 정책 과정 전반에 걸친 데이터 활용으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 수준을 측정하는 부문으로 우리나라는 1점 만점을 받았다. OECD 평균은 0.633점이다.

개방형 정부는 정부가 가진 정보·데이터 및 절차 등을 공개하는 수준을 측정하는 부문이다. 우리나라는 0.882점을 받았으며 OECD 평균은 0.525점이다.

선제적 정부는 국민 수요를 사전에 예측해 신속하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부문이다. 0.934점을 받았고 OECD 평균은 0.567점이다. 디지털 우선 정부는 정책 및 공공서비스 개편 때 처음부터 디지털 기술을 반영해 설계하는 수준을 측정하는 부문으로 우리나라는 0.971점을 받았다. OECD 평균은 0.684다.

관련기사

국민주도형 정부는 정책·서비스 설계 때 국민(사용자)의 주도적 참여를 보장하는 수준을 측정하는 부문으로 0.909점을 받았다. OECD 평균은 0.607점이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지난해 12월 OECD가 발표한 공공데이터 평가에 이어, 디지털정부 평가에서 연속으로 1위를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은 국민과 정부, 기업 모두가 노력한 덕분”이라며 “세계가 인정한 디지털정부 선도국으로서 앞으로도 편리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