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갤럭시S24 눈 보호 개선? 중국산이 훨씬 앞서"

中 매체 "갤S24 PWM 492Hz 인데 중국 기업은 3840Hz" 보도

홈&모바일입력 :2024/01/25 08:21    수정: 2024/01/25 08:44

중국 업계에서 삼성전자의 갤럭시S24에 탑재된 OLED의 눈 보호 성능이 중국산을 따라오지 못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4일 중국 언론 IT즈자는 "갤럭시S24 시리즈 OLED의 펄스폭변조(PWM) 디밍(조광) 주사율이 492Hz로 높아졌지만, 중국산을 따라오려면 아직 한참 멀었다"는 제하 기사를 통해 갤럭시S24의 PWM 성능이 중국 기업들의 스마트폰 PWM에는 크게 못 미친다는 평가를 내놨다.

매체에 따르면 통상 PWM 수치가 높을 수록 화면의 깜박임이 줄어들고 눈의 피로를 완화할 수 있다. 백라이트로 휘도를 조절하는 LCD와 달리 OLED는 화면의 픽셀을 빠르게 켜고 끄는 방식으로 화면 밝기를 제어하는데, 이 깜박임이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중국 언론이 게재한 삼성전자의 갤럭시S24 울트라 모델의 PWM 주사율 데이터 (사진=IT즈자)

IT즈자는 "최근 몇 년간 중국 제조기업들이 이미 PWM 주사율을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렸다"며 "아너의 일부 모델은 3840Hz에 도달했고, 원플러스12 역시 2160Hz다"라고 비교했다.

중국 브랜드인 아너와 원플러스의 스마트폰이 PWM 측면에서 더 높은 수치를 달성했다는 의미다.

지난해 실제 '아너 90' 시리즈가 처음으로 3840Hz의 초고주사율 디밍 기술을 탑재했다는 홍보 문구와 함께 출시됐다. 아너는 독일 인증기관 TUV의 깜박임 방지 및 위험 제로 디밍 인증을 통과했다고도 소개했다.

이어 지난해 11월 발표된 비보의 'X100' 시리즈도 2160Hz의 주사율 디밍 기술이 탑재됐다고 소개됐다. 비보는 "비보 X100 시리즈가 완벽한 눈 보호 기능으로 업그레이드 됐다"며 "2160Hz의 완전 고주사율 디밍 기능이 탑재돼 SVM(stroboscopic effect visibility measure, 스트로보 효과 가시성 지표)이 0.03까지 낮아져 깜박임이 줄어든다"고 설명했다.

원플러스가 지난해 12월 발표한 '원플러스12'도 2160Hz의 고주사율 디밍을 내세웠다.

PWM 주사율이 3840Hz라고 소개된 '아너 90' 시리즈 (사진=아너)
PWM 주사율이 2160Hz라고 소개된 비보의 'X100' 시리즈 (사진=아너)

IT즈자는 또 "뿐만 아니라 원플러스와 모토로라 등 브랜드는 LCD와 유사한 DC 디밍 솔루션을 통해 OLED의 강점을 가져가면서도 깜박임 문제를 최소화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애플은 아이폰13부터 PWM 주사율을 480Hz로 높였는데, 갤럭시S24 시리즈 전체의 PWM 주사율이 492Hz로 높아진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안드로이드센트럴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높은 휘도에서도 디밍 모드를 최적화해 눈의 편안함을 높였다.

갤럭시S24는 국내에서 오는 30일 정식 출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