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 교정은 어릴 때, 젊을 때 해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노년층까지 범위가 확장됐다. 과거 노년층은 구강에 남은 치아가 없을 정도로 구강 내 건강이 안 좋았지만 요즘의 노년층은 치아도 잘 유지하고 있고, 교정치료 장치도 다양하게 개발돼 나이가 들어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하지만 나이가 들어 보유 질환이 증가하기 때문에 강동경희대학교치과병원 교정과 강윤구 교수의 도움말로 주의점을 알아봤다.
임플란트 위한 교정이 일반적, 심미적 이유도…치아 상태 좋을수록 도움
치아 교정을 받으러 오는 노년층 중 다수는 선행 치료로 교정 치료를 받기 위해 병원을 찾는다. 이미 상실된 치아를 임플란트 등으로 회복하고자 하는데 치아 배열이나 공간이 맞지 않아 치아 교정을 먼저 시행해야 할 때 교정 치료가 필요하다. 강윤구 교수는 “최근에는 양치가 더 잘되도록 치아를 바르게 펴거나, 심미적인 이유로 치아를 바르게 펴고자 치아 교정을 찾는 노년 환자들도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노년층의 교정 치료가 늘게 된 건 요즘 노년층이 치아를 잘 유지했기 때문이다. 과거 노년층은 구강 내에 남은 치아가 없을 정도로 구강 내 건강이 안 좋은 경우가 많았지만 요즘은 치아를 대부분 잘 유지하고 있고, 문제가 있어도 부분적으로만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 치아 교정이 자연 치아를 오래 유지하고, 잘 쓰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바르게 배열된 치아는 더 젊어 보이고 건강해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다.
망가진 잇몸뼈, 임플란트는 안돼…당뇨병·골다공증 환자 주의해야
치아 교정을 받을 수 없는 상황은 두 가지 경우가 있다. 우선 치주질환으로 잇몸뼈가 지나치게 망가져 있다면 교정 치료 자체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치아 뿌리 기준으로 절반 정도만 잇몸뼈가 있어도 교정 치료가 가능하다. 또 교정을 위해 움직이려는 치아 부위에 과거에 심은 임플란트가 있는 경우 교정 치료가 불가능하다.
노년이 되면 신체가 안정화되어 치아 교정과 같은 구강 내 구조의 변화는 그 자체로 불편감이 클 수 있다. 강윤구 교수는 “반드시 모든 노년층이 그런 것은 아니지만, 치료 중간 치아 맞물림의 변화도 적응하기 어려워하는 경우를 종종 본다”며 “교정 치료를 받으려는 노년층은 젊은층에 비해 불편감이 더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치아 교정이 절대 불가능한 질환은 없다. 하지만 잇몸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저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골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약을 복용하고 있는 경우는 교정 치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교정과 전문의와 상담 시 반드시 본인의 질환이나 복용 중인 약에 대한 고지가 필요하다.
일례로 당뇨병으로 인해 잇몸뼈가 약화된 경우라면 조금 더 조심스럽게 교정 치료를 결정해야 한다. 골다공증 환자라면 치아 이동은 문제가 없으나 교정이 끝난 후 다시 치아가 원래 자리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다. 또 일부 골다공증 치료제는 치아 이동을 저하시킬 수 있다.
노년층도 ‘덜 보이는 교정 장치’ 선호…교정 장치‧방법은 젊은이와 차이 없어
교정 치료를 받는 사람 대부분은 불편감이 덜하고 겉으로 덜 보이는 장치를 선호한다. 노년층도 마찬가지인데, 이런 요청이 있을 때는 특수 코팅된 와이어를 이용하는 교정 치료를 권하고 있다. 브라켓이라고 하는 일반적인 교정 장치에 비해 돌출된 모서리가 없어 편하고 부피감이 적으며, 철사만한 줄이 붙어 있는 것으로 보여 겉으로 보기에도 장치가 두드러지게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그 외에도 간단하게 치아 안쪽으로 붙여서 보이지 않는 교정 장치, 투명 교정이라 해 착탈식으로 투명한 틀을 치아에 끼워서 하는 교정 장치 등 불편감이 적으면서 심미적 저하가 미미한 장치들이 있다.
교정 장치, 치료 방법은 젊은 환자와 큰 차이가 없고, 원리도 동일하다. 그러나 노년에는 세포 활성도 등이 낮아 치아 이동 속도가 느릴 수 있다. 강윤구 교수는 “노년층 환자들은 치아 이동으로 인한 불편감, 통증이 젊은 환자에 비해 심한 경향이 있다”며 “그래서 개개인의 잇몸 상태나 치아 상태에 따라 치아 이동에 필요한 교정 장치의 디자인, 교정 힘의 강도, 내원 주기 등을 조절해 맞춤 치료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