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 적고, 오래 앉아있을수록 ‘신장질환’ 위험 증가

김양균 교수팀, ‘신체 활동량과 좌식 생활에 따른 만성 신질환 발생률’ 연구

헬스케어입력 :2024/01/03 17:05

신체 활동량이 적을수록, 오래 앉아있을수록 만성 신질환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관심을 끌고 있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신장내과 김양균 교수는 코호트 연구를 통해 40대~60대 일반인을 대상으로 신체활동과 좌식 생활이 만성 신장질환 발생을 높인다는 결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양균 교수팀은 국립보건연구원과 함께 안산·안성 지역에 거주하는 40~60대 일반인 7천988명을 대상으로 신체 활동량과 만성 신질환의 발생률에 관한 코호트 연구를 진행했다.

혈액‧소변 검사를 진행하고, 신체 활동량과 좌식 시간은 상·중·하의 세 단계로 평균 12년간 상태를 추적해 세 그룹의 신장 기능 변화와 만성 신질환 발생을 분석했다.

강동경희대병원 신장내과 김양균 교수

그 결과, 신체 활동량이 적을수록 좌식 시간이 길었으며, 신체활동양이 적거나 좌식 시간이 길수록 기저 신기능이 좋지 않았다. 건강한 사람이더라도 노화가 진행되면 신장 기능도 점차 나빠지는데 신체 활동량이 적은 그룹과 좌식 시간이 긴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신기능이 더 가파르게 저하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 12년간의 추적 관찰 결과 신체활동이 적은 그룹과 좌식 시간이 긴 그룹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만성 신질환의 발생률도 높았다. 다만, 좌식 시간이 길더라도 신체 활동량이 많으면 만성 신질환 위험도가 증가하지 않음도 확인했다.

현대인들은 공통적으로 운동을 하지 않고 주로 앉거나 눕는 생활 방식으로 살고 있으며, 이는 비만, 심혈관 질환, 신장질환을 유발한다. 이에 WHO에서는 일주일에 고강도 운동은 75분, 중등도 운동은 150분 이상 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김양균 교수는 “실제로 이번 연구 결과 좌식 시간이 길어도 신체 활동량을 늘리면 신장 기능 회복에 도움이 된다고 밝혀졌다”라며 “좌식 생활의 패턴을 바꾸기 어렵더라도 신체활동을 늘려 비만, 심장질환, 만성 신질환 발생을 낮출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특히 “연구 대상자들은 40~60대의 신장질환이 없는 일반인이다. 하지만 일반인도 오래 앉아 생활하고 신체활동을 줄이면 10~20년 뒤 만성 신질환 환자가 될 수 있다는 결과를 확인했다”라며 “건강한 노년을 위해 신체활동을 늘리고 운동을 시작해 좌식 생활이 주는 위해를 줄여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노인의학 및 의학 분야 학술지인 ‘Journal of Cachexia, Sarcopenia and Muscle’에 2023년 2월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