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유도 탈탄소 시대..."국내 SAF 시장 법률 미비·원료 확보 숙제"

EU·미국 SAF 상용화 서둘러...국내 업계 바이오연료 초기 시장 선점 중요

디지털경제입력 :2023/12/18 17:09    수정: 2023/12/20 16:52

수송부문 동력이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변모하는 추세다. 최근엔 미국 정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SAF(지속가능항공유)에 세액공제 형태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하면서 항공유 시장도 지각 변동이 예고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서울 강남 삼정호텔에서 '석유산업의 신성장 전략과 친환경연료의 역할'을 주제로 제5차 '2023 석유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석유·해운 등 다양한 분야의 업계·학계 전문가와 국내외 친환경연료 정책 및 산업 현황을 진단했다.

이날 연사로 선 김영대 SK이노베이션 그린성장기술팀장은 "항공수요가 늘어나은 가운데서도 항공유 친환경화 하기 위해서 기술적 난제가 많다"면서 "ICAO(국제민간항공기구)는 이미 코르시아(CORSIA) 규제를 채택한 바 있고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속도가 나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SAF 시장 초기 설정을 어떻게 할 것이냐가 핵심"이라고 짚었다.

현재 국내 SAF 시장은 관련 법률 미비에 발목이 잡혀 시장 진출에 속도가 나지 않는 상황이다. 현행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상 SAF는 석유 대체연료에 포함되지 않아 정유사들이 생산할 자격이 없다.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 사업법 일부개정법률안이 발의됐지만 상임위에 계류 중인 상황이다.

18일 서울 강남 삼정호텔에서 '석유산업의 신성장 전략과 친환경연료의 역할'을 주제로 진행된 제5차 '2023 석유컨퍼런스'에서 패널 토론이 진행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오는 2025년부터 역내에서 착발하는 모든 항공기에 최소 SAF를 2% 이상 사용해야 한다. 미국도 2030년까지 10% 2050년까지 100% SAF 사용을 목표로 잡고 상용화를 서두르고 있다.

김 팀장은 SAF 원유지 확보 제한도 시장 확대를 위한 걸림돌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바이오와 관련한 연료는 중국과 동남아에 집중돼 있는 게 현실"이라면서 "현실적으로

국내 기업 입장에서는 바이오 연료 확보가 쉽지 않다. 제도적으로 뒷받침이 돼야 초기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미 해외 석유 기업들은 SAF 개발에 팔을 걷어 붙인 상태다. 실제 쉐브론, 엑슨모빌 등 이미 원유 정제공정을 일부 바이오원료 정제공정으로 전환하고 있다. 국내 기업의 경우 재활용원료를 정제하는 혼합 투입(Co-Processing)을 통해 개발하겠다는 구상이다.

관련기사

김철현 HD현대오일뱅크중앙기술연구원 상무는 "석유사업법이 정비될 경우 Co-processing 용도로 공정을 전환함에 따라 이미 가지고 있는 설비로도 개발에 속도가 날 수 있을 것"이라면서 "유럽의 정유 공장들도 같은 용도로 공정을 전환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이어 "바이오 연료의 글로벌 수요는 2035년까지 점차 증가할 것"이라면서 "주요 경제국에서도 탄소중립을 위한 즉각적인 옵션으로 보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