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악화·고금리에 부실 징후 기업 전년보다 46개 증가

채권은행 정기 신용위험평가 실시…85%가 중소기업

금융입력 :2023/12/18 13:43

코로나19 이후 수익성이 악화되고 금리 인상이 이어지면서 올 한 해 부실 징후 기업이 2022년보다 46개 늘어났다.

금융감독원은 18일 채권은행의 2023년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부실 징후 기업이 231개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정기 신용위험평가 후 A~D등급으로 기업을 분류하는데, C와 D등급은 부실 징후 기업으로 분류된다. 이중 C등급은 자구 노력 등을 통해 경영정상화가 추진되지만 D등급 기업은 채무자회생법에 따른 회생 절차가 진행된다.

(자료=금융감독원)

올해 부실 징후 기업으로 분류된 기업 231개사 중 C등급은 118개사, D등급은 113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34개, 12개사 증가했다. 

올해 신용위험평가서 늘어난 부실 징후 기업 중 85%가 중소기업으로 나타났다.  부실 징후 기업은 대기업서 9개사, 중소기업은 222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7개사, 39개사 늘었다.

업종별 분류로 따져보면 ▲부동산(22개) ▲도매·상품중개(19개)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업(각 18개)로 가장 많았다. 전년 대비 고무·플라스틱 업종이 11개 늘었고 자동차에서 8개, 부동산 7개, 도매·상품 중개업에서 상대적으로 큰 폭 늘었다.

코로나19 유행 기간이 지난 2022년부터 대내외 경기 부진, 원가 상승으로 기업 수익성이 악화된 데 올해 금리 상승 영향이 본격화 되면서 연체가 발생한 기업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금감원은 분석하고 있다.

관련기사

부실 징후 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올해 9월말 기준으로 2조7천억원 수준이다. 은행권의 신용 공여가 73.4% 수준이다. 은행의 충당금 추가 적립 추정액은 약 3천500억원이다.

금감원은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을 유도해 채권단 중심의 경영정상화를 지원할 것"이라며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은 법적 구조조정 등을 유도해 부실을 신속히 정리해 시장 불확실성을 해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