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AI연구원, AWS 기반 캡션 솔루션 출시

데이터셋에 없는 객체·장면도 설명 가능

컴퓨팅입력 :2023/11/30 09:39

아마존웹서비스(AWS)는 LG AI연구원이 AWS 기반으로 인공지능(AI) 이미지-투-텍스트 캡셔닝 솔루션을 출시했다고 30일 밝혔다. 

AWS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한 'AWS 리인벤트 2023'에서 LG AI연구원의 이런 소식을 알렸다. 신규 캡션 솔루션은 3천억개 파라미터를 보유한 LG AI연구원의 멀티모달 모델 '엑사원 2.0'으로 작동한다. 엑사원의 새로운 제로샷 이미지 캡션 솔루션은 생성형 AI를 사용해 인간의 인지 능력과 유사하게 이전의 경험과 지식, 훈련을 바탕으로 본 적 없는 객체나 장면을 자동으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엑사원이 한국어와 영어로 된 이미지와 텍스트를 이해하고 인간에 가까운 추론 능력을 활용해 정확하고 상세한 이미지 캡션과 키워드를 작성할 수 있는 이유다.

광고 산업군에서는 LG AI연구원의 기술을 활용해 제품 설명을 자동화하거나 광고·마케팅 캠페인을 위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LG AI연구원은 엑사원의 학습 중 파라미터 수가 늘어나는 등 필요에 따라 비용 효율적으로 IT 리소스를 확장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조정 가능한 컴퓨팅 용량을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아마존 엘라스틱 컴퓨트 클라우드를 사용한다.

(사진=아마존웹서비스)

소비재 기업, 마케팅 에이전시 등 LG AI연구원 고객들은 AWS으로 시간당 2천개 넘는 이미지 캡션을 생성할 수 있다. LG AI연구원은 머신러닝(ML) 모델을 구축·훈련·배포하는 완전 관리형 서비스 아마존 세이지메이커로 3억 5천만 개의 고해상도 이미지와 텍스트셋을 엑사원에 적용했다. LG AI연구원은 클라우드를 사용해 온프레미스 인프라보다 더 빠르고 저렴한 비용으로 결과를 미세 조정하고, 체크포인트를 구현하며, 데이터 편향과 같은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관련기사

LG AI연구원의 엑사원 이미지투텍스트 변환 솔루션은 AWS 마켓플레이스와 아마존 세이지메이커 점프스타트를 통해 이용 가능하다. 

LG AI연구원 이화영 상무는 "엑사원은 크리에이티브 분야에서 생성형 AI를 더 쉽게 활용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도구"라며 "AWS의 업계 선도적인 ML 역량은 우리가 혁신적인 솔루션을 빠르게 개발하고 배포하도록 돕는다. 우리 비전은 크리에이티브 영역이 새로운 차원의 효율성을 확보하고 기업이 이미지 검색 등의 반복적인 업무 대신 창작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