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포(vesicle)'는 세포 안에서 물질을 운송하는 역할을 한다. 트럭이 교통 정체를 겪듯, 소포도 세포 안에서 움직임에 제약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원장 노도영)은 살아있는 세포 속에서 활발하게 이동하는 소포의 움직임만 선택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새로운 현미경을 개발,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소포는 얇은 지질막으로 둘러싸인 작은 주머니 모양의 기관이다. 호르몬과 효소, 신경물질 등을 담아 세포 안 필요한 곳에 전달하는 우편배달부다. 소포가 물질을 엉뚱한 곳에 전달하거나 운송이 지연되면 여러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지금까지 소포의 수송 원리나 세포 소기관의 상호작용 분석 등에 대한 연구는 형광 현미경을 주로 사용했다. 하지만 형광 표지된 소포들의 수송 과정만 관찰할 수 있고, 형광 신호가 유지되는 동안만 관찰할 수 있는 한계가 있었다. 세포 속의 복잡한 골격망을 따라 수송되는 수많은 소포의 전체적 수송 현상을 시각화하기는 어려웠다.
IBS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조민행 단장(고려대 화학과 교수)과 고려대 물리학과 홍석철 교수 공동 연구팀은 자체 개발한 간섭산란 현미경을 활용, 복잡한 세포 속에서 이동하고 있는 소포들의 이동 궤적을 장시간 정밀하게 추적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세포 핵 주변에서부터 세포 가장자리 돌출부인 라멜리포듐 이어지는 영역에서 100개 이상 소포들의 이동 궤적을 30분 이상 동시에 추적했다. 1초에 50장의 이미지를 재생하는 초당 50㎐의 속도로 영상을 얻었다.
이 과정에서 획득한 소포 위치 정보를 이용해 세포 내부의 고속도로라 할 수 있는 골격망의 공간적 분포를 고해상도로 재구성하는 데도 성공했다.
연구진은 소포의 새로운 수송 특성도 확인했다. 수송 과정에서 소포들이 국소적으로 이동 정체 현상을 겪기도 하지만, 여러 소포들이 함께 긴 거리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집단 수송 방식, 수송 중인 소포 뒤에 달라붙어 함께 이동하는 히치하이킹 수송 방식 등을 이용해 세포 속 정체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수송 전략을 갖추고 있음을 밝혀냈다.
제1저자인 박진성 연구원은 "매우 복잡하고 미시적 세계인 세포 속 환경에서 대도시 사람들이 도로 위에서 일상적으로 경험하는 교통 체증 현상이 유사하게 나타났다"라며 "세포가 트래픽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채택하는 효율적 수송 전략을 찾아 생명현상과 어떻게 연관되는지 규명해 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나아가 연구진은 개발한 현미경에 형광 표지된 세포 속 분자를 관찰할 수 있는 형광 현미경을 결합한 관찰 도구도 개발했다. 고속‧고해상도 간섭산란 영상 기법에 화학선택적 형광 영상 기법을 접목하여 관찰 정밀도를 더 높인 것이다.
관련기사
- 조영제 없이 혈관 속 혈구 3차원으로 찍는다2023.11.01
- 노벨상 수상자 3명, 내달 부산서 열리는 '현미경 올림픽' IMC20에서 강연2023.08.29
- LG전자, 4개 사업본부 대수술...고객 지향 솔루션 체제로2024.11.21
- "피부 컨설팅 받고 VIP라운지 즐겨요"…체험 가득 '올리브영N 성수' 가보니2024.11.21
홍석철 교수는 "생명현상을 고감도‧고속‧장기간 관찰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 생명현상을 분자들의 거동 관점에서 근본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됐다"라며 의학적으로 큰 파급력을 갖는 발견이 가능해지리라 기대했다.
이 연구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논문 제목은 Long-term cargo tracking reveals intricate trafficking through active cytoskeletal networks in the crowded cellular environment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