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트룩스-NHN, AI 서비스 사업 본격화

'루시아' 기반 AI 서비스 통합 제공…NHN클라우드 GPU 인프라 활용

컴퓨팅입력 :2023/11/14 16:10    수정: 2023/11/14 16:19

솔트룩스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사업 확보를 위해 NHN과 손잡았다. NHN의 클라우드 인프라 기반으로 AI 서비스 사업을 본격화할 방침이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14일 서울 여의도 MMCA 빌딩에서 개최한 '솔트룩스 미래 성장전략 발표회'에서 클라우드 인프라와 생성형 AI 기반으로 AI 사업의 주도권 확보에 나선다고 밝혔다. 

우선 두 기업은 NHN클라우드의 GPU 인프라로 솔트룩스의 AI 제품을 서비스할 방침이다. 솔트룩스는 현재 거대언어모델(LLM) 루시아 기반으로 음성인식, 음성합성, 챗봇, 가상인간 솔루션 등을 제공하고 있다. 솔트룩스는 자사 솔루션을 통합해 AI 플랫폼을 구축하고 사업을 확장할 계획도 알렸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가 미래전략설명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NHN은 이번 협력으로 별도 개발 비용 투자 없이 기업간거래(B2B) 시장에 생성형 AI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 솔트룩스도 공공 및 민간 부문 LLM 기반 대규모 서비스 및 사업을 확대 추진하기 위해 필요했던 GPU 및 클라우드 인프라 확보 문제를 해결했다.

솔트룩스는 하드웨어 인프라와 이미 확보한 2천개 이상 GPU 팜으로 AI 사업을 확장할 수 있게 됐다. 오픈AI처럼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플랫폼 서비스(PaaS)를 가속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셈이다. 

NHN는 서비스 중인 다양한 사업 영역에도 AI 기술을 적용함으로써 고객에게 더욱 강력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NHN은 게임, 결제·광고, 커머스, 기술, 콘텐츠 기반으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연간 연결 매출액 2조원 이상, 임직원 약 5천200명을 둔 IT 기업이다.

관련기사

솔트룩스는 AI 클라우드 인프라와 생성형 AI 협업을 구현했다.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 아마존과 앤트로픽이 협력을 통해 폭발적인 성장을 이룬 것처럼 솔트룩스도 AI 클라우드 인프라 및 생성형 AI 협업을 이뤘다"고 강조했다. 

이날 솔트룩스는 사업 구조 효율화와 판로 확대, 사업 수행 능력 향상 등 상호 보완 시너지 창출을 목적으로 다이퀘스트를 인수했음을 밝히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