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자동차 산업이 최근 글로벌 환경규제로 인한 수출장벽에 가로막힐 것이라는 우려가 작용하는 가운데 소재·부품을 아우르는 전(全) 공급망 차원에서 대응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5일 '국제 환경규제 강화와 한국 자동차산업의 대응 전략'이라는 주제로 제2차 자동차전문위원회 친환경차 분과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KAMA가 운영하는 5개 전문위원회 중 하나인 친환경차 분과는 서울대 민경덕 교수를 위원장으로 전기, 수소, 전 과정 환경영향평가(LCA) 등의 전문가 20여명이 참여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참석자들은 자동차산업의 환경규제가 연비와 배출가스 규제에서 공급망 전체의 이산화탄소(CO2) 규제와 화학물질·재활용 규제로 확대하고 있다며 개별 기업 차원에서의 대응은 한계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또 소재·부품업체의 생산단계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과 화학물질에 관한 환경 데이터 확보와 이를 증명할 수 있는 인증체계 구축 등이 더욱 필요해졌다고 설명했다.
강남훈 KAMA 회장은 "유럽 등 선진시장이 탄소와 유해물질 배출 규제를 강화해 수출 진입장벽을 높이고 있다"며 "제품 전 생애주기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감축을 요구하는 등 전주기 공급망 관리가 더 강화돼 완성차기업 스스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생겼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환경성평가목록(LCI) 데이터베이스 고도화, 검인증 제도 구축 등 공급망 전체의 환경규제 대응 역량을 높일 수 있는 정책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가청정생산지원센터 신호정 실장은 "자동차 업계가 공급망 차원의 업종 간 협업체제로 전환되고 있다"며 "온실가스와 유해 화학물질에 대한 규제는 자동차의 소재, 부품, 재활용 등 전 주기에 걸쳐 강화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정확한 동향 파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자동차산업은 개별 기업보다 산업군 측면에서, 개별 산업보다는 공급망 측면에서 대응책을 준비하고, 디지털 기술을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