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 AI 일상화 추진...내년 예산 9천억 투입

국민일상·산업현장·공공행정 등 AI 확산 총력..."디지털 모범국가 기초 활용"

방송/통신입력 :2023/09/13 14:42    수정: 2023/09/13 14:43

정부가 전세계에서 인공지능(AI)을 가장 잘 활용하는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전국민 AI 일상화 실행계획’ 시동을 건다.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3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대한민국 초거대 AI 도약’ 브리핑을 열고 “관계부처 합동으로 2024년 9천9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전국민 인공지능 일상화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민 편의를 향상하고 대규모 수요 창출을 통한 산업 육성을 견인하기 위한 것”이라며 “국민일상, 산업현장, 공공행정 등 국가 전방위적으로 AI를 확산해 국민과 함께 AI 혜택을 공유하고 디지털 모범국가의 탄탄한 기초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 내용은 앞서 오전에 청와대에서 열린 ‘대한민국 초거대 AI 도약’ 행사에서 발표됐다.

전국민 AI 일상화 추진과 함께 AI 국제협력을 확대한다. 국가적인 AI 수준이 세계 최고에 도달하기 위해 내년부터 미국, 캐나다, 유럽연합(EU) 등의 선도 대학과 글로벌 공동연구를 초진한다.

또 인공지능 공동랩 구축과 석·박사급 파견을 통한 전문 양성을 새롭게 추진한다. 양자 협의체와 국제기구를 통해 우리의 AI 신뢰성 정책과 제도에 대한 공조를 강화하고 아세안, 중동 등 신흥국을 대상으로 한아세안 디지털 혁신 플래그십 등을 통해 AI 공동번영 협력 및 해외진출 지원을 확대한다.

지난해 윤석열 대통령이 발표한 뉴욕구상과 지난 6월 파리 이니셔티브를 통해 새로운 디지털 질서와 규범의 기본 방향으로서 디지털 권리장전을 수립한다.

디지털 권리장전은 디지털 공동번영사회를 위한 기본원칙과 그 실현을 위해 보장돼야 할 시민의 권리, 주체별 책무를 규정하게 된다. 이를 위해 대학총장, 9개 학회, 기업 CEO, 청년세대 등 간담회를 진행해 사회적 의견을 폭넓게 수렴했다.

뉴욕구상 1주년을 계기로 디지털 권리장전을 발표하고 UN, OECD 등을 통해 국제사회와 공유 확산해 글로벌 디지털 규범 제정을 주도할 방침이다.

AI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른 잠재적 위험성 부작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 윤리와 신뢰성을 강화한다.

치안(CCTV),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분야별 특화 자율점검표 개발안내서’를 개발하고, AI 서비스에서 발생 가능한 주요 위험요인, 성능 등에 대해 공신력 있는 제3의 기관을 통해 평가하는 신뢰성 검인증 체계를 마련하해 민간의 자율적 시행을 지원한다.

AI 설명가능성, 공정성 개선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과 함께, 그럴듯한 거짓답변(Hallucination), 편향성, 비윤리・유해성 표현 등 초거대 AI 한계 극복을 위한 기술개발도 내년부터 신규 추진한다.

관련기사

이 장관은 “치열한 디지털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인공지능 기술・산업 경쟁력과 사회적 수용성을 함께 높여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AI 혜택을 국민과 함께 공유하면서 대규모 수요를 창출하는 전국민 인공지능 일상화를 착실히 추진해 나가는 한편 최근 AI와 디지털을 둘러싼 국제 동향에 적극 대응하고 AI 윤리d와 신뢰성 강화, 디지털 권리장전 수립을 통해 디지털 심화 시대에 필요한 새로운 디지털 규범과 질서를 주도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