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로보택시, 구급차 방해 사례 늘어...규제 강화 방안 논의

24시간 운행 허용 후 충돌 사례 급증

컴퓨팅입력 :2023/09/05 08:14

미국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에서 자율주행 택시(로보택시)와 구급차 충돌 사고가 잇따라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CNBC는 4일(현지시간) 로보택시가 본격적으로 운행을 시작한 지난해 4월부터 지난달까지 구급차·소방차를 방해한 사례가 약 73건이라고 보도했다. 올해 발생 사례만 70건이다. 이중 로보택시 운행을 24시간 확대한 지난달 9일 이후로 13건 일어났다. 이는 올해 발생 건수 18%를 차지한다. CNBC는 샌프란시스코 소방 당국이 공개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 구글 웨이모는 각각 지난해 2월, 3월부터 로보택시 시범 운행을 시작한 바 있다. 당시 로보택시는 늦은 밤에만 운행했다. 이후 지난달 9일 캘리포니아주 당국은 24시간 공식 영업 허가를 내렸다. 이에 GM와 웨이모는 운행 차량 대수도 늘렸다. 현재 GM과 웨이모는 로보택시를 총 550대 운행 중이다.

제너럴모터스 무인택시 크루즈. (사진=GM)

그러나 24시간 운행 허가 후 각종 사고가 발생했다. CNBC에 따르면 지난달 14일 밤 10시에 샌프란시스코 시내에서 크루즈 로보택시 2대가 구급차 운행을 방해했다. 당시 구급차는 택시에 치인 환자를 싣고 병원으로 향하던 중이었다. 환자는 뒤늦게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사망했다.

관련기사

샌프란시스코 소방 당국은 "당시 크루즈가 도로를 막아 이송을 늦출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GM 측은 "동영상 확인 결과 방해하지 않았다다"고 반박했다. 샌프란시스코 경찰도 "로보택시가 긴급 차량에 대한 인식과 대응능력이 떨어진다"고 주장했다. 

캘리포니아주 정부는 "조만간 로보택시 운행에 대한 새로운 규제 강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