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저온학회 LK-99 검증위원회는 31일 4개 연구기관의 LK-99 시료 재현 실험 결과, 아직 초전도성 특성을 보인 사례는 없다고 밝혔다.
현재 8곳의 연구기관이 초전도저온학회와 연계해 LK-99 재현 실험을 하고 있으며, 이중 4곳이 재현 시료를 제작했다. 한양대 고압연구소와 서울대 복합물질상태연구단, 부산대 양자물질연구실 등 3곳은 퀀텀에너지연구소가 공개한 논문에 공개된 제조 방법을 따랐다. 포항공대 물리학과 연구팀은 별도 공정으로 단결정을 제작했다.
4곳 모두 초전도 특성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검증위는 밝혔다. 한양대 시료는 LK-99와 조성 및 특성이 유사하며 저항의 급격한 변이가 있지만, 저항율은 10³Ω·㎝ 수준으로 도체보다는 부도체에 가깝다고 학회는 설명했다. 자화율도 초전도체가 보이는 특성과는 달랐다.
서울대 시료는 LK-99와 결정 구조는 다소 달랐으며, 저항율은 온도가 내려가면서 5-10배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화율 측정 결과는 전반적으로 약한 반자성 특성만 보였다. 부산대는 합성된 전구체의 조성 비율을 달리 하여 두 종류의 시료를 합성했다. 첫번째 시료의 전기저항 측정 결과, 저온에서 저항이 증가하는 반도체 성질을 보였다. 150-180K(영하 123-영하 93℃) 사이에서 저항 변화가 관측되었지만, 초전도성에 의한 전기저항 감소는 아니라는 판단이다. 두번째 합성시료에 대해선 추가적 측정 및 분석을 진행 중이다.
관련기사
- LK-99 검증위 "시료 일부 제조···초전도성 측정 결과 아직 없어"2023.08.18
- LK-99 정말 '상온 초전도체'인가…국내 연구진이 검증한다2023.08.02
- [기자수첩] 상온 초전도체 열풍···이제 밈 과학의 시대인가2023.08.04
- "투자·인재·제도 열악한데 AI 3강?"…韓, 마이너리그 전락 '우려'2024.12.11
포항공대 연구팀은 논문의 제조 방법을 채택하지 않고 별도 공정으로 단결정을 제작했으며, 단결정 시료에서는 앞서 막스플랑크 연구소 결과와 같이 부도체 특성이 확인됐다. 단결정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면, 그 외에 나타나는 현상은 불순물에 의한 특성으로 볼 수 있다고 검증위는 밝혔다.
검증위는 "연구기관별로 제조한 시료의 특성이 크게 다르다"라며 "여러 연구기관이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한 많은 시료를 재현해 측정하는 것이 결론 도출에 도움이 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