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대구 등 소부장 특화단지 5개 추가...미래차·반도체·바이오 키운다

자율주행 부품·전력반도체·반도체 장비·바이오에 6.7조원 투자

반도체ㆍ디스플레이입력 :2023/07/20 16:43

정부가 미래차, 바이오,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소재부품장비 특화단지 5곳을 추가하고 약 6조7천억원의 기업 신규 투자를 이끈다.

20일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위원장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부위원장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는 소부장 특화단지를 기존 반도체에서 미래차·바이오 등을 신규로 추가한다고 밝혔다.

더불어 ▲광주(미래차, 자율주행차 부품) ▲대구(미래차, 전기차 모터) ▲충북오송(바이오, 바이오의약품 원부자재) ▲부산(반도체, 전력반도체) ▲경기안성(반도체, 반도체장비) 5개 지역을 추가 지정하기로 결정했다. 금번 특화단지 조성에 약 6조7천억원의 기업 신규투자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부위원장)은 20일 오후 2시 정부서울청사 영상회의실에서 추경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위원장)을 비롯한 관계부처 장관 및 민간위원 등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열린 '제12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강화위원회'에 참석했다.(사진=산업통상자원부)

소부장 특화단지는 2021년 2월 5개 분야가 최초 지정된 이후 2년 6개월 만에 5개가 추가되면서 총 10개로 늘어났다. 정부는 이번 특화단지 신규 지정을 통해 미래차·바이오 공급망 생태계를 조성하고, 반도체 생태계 취약점인 전력반도체, 반도체장비 공급망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미래차 분야 특화단지는 자율주행, 전기차 등 미래차 전환에 따라 높은 수요가 발생될 것으로 기대되는 핵심부품들의 자립화, 내재화를 추진한다.

광주에서는 자율주행차의 핵심 기능과 관련된 인지센서, 제어부품, 통신 시스템 관련된 밸류체인 집적화를 추진한다. 기아차, GM 등 완성차 기업과 LG이노텍, 현대모비스 등 주요 미래차 부품사, 약 70개 소부장 기업이 약 1조9천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대구에서는 전기차 모터 부품 생태계를 구축한다. 경창산업, 보그워너 등 전기차 모터 생산기업과  성림첨단(영구자석) 등 약 60개 소부장 기업이 1조5천억 원 투자를 결정했다. 이를 통해 전기차 모터 자립률 50%에서 향후 90%로 높인다는 목표다.

부산에서는 고성능 화합물 전력반도체(SiC, GaN) 등을 개발한다. SK파워텍 등 전력반도체 소자기업의 신규 투자가 확대 중이며, 제엠제코 등 약 20개 소부장 기업이 약 8천억 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표=산업부

경기도 안성에서는 반도체 장비 개발에 주력한다. 소부장 특화단지에는 케이씨텍, 미코세라믹스 등 주요 반도체 장비기업과 함께 코미코 등 약 40개 소부장 협력기업 입주할 계확이다.

바이오 분야 특화단지는 코로나19 이후 바이오의약품 글로벌시장이 크게 성장함에 따라 백신 등 의약품 제조공정(배양→정제→완제)에 필수적인 원부자재 자립을 목적으로 한다. 충북에는 LG화학, 대웅제약, GC녹십자 등 주요 수요기업과 바이오원부자재 관련 약 70개 소부장 기업 위치하며, 약 1조6천억 원을 투자한다.

정부는 특화단지 생태계 조성을 위해 수요-공급기업 간 공동 연구개발(R&D), 테스트베드, 사업화 등 기술자립과 국내복귀 기업지원, 지방투자 등 단지 내 기업유치를 지원하고, 특화단지별 추진단을 구성해 규제개선과 기업 건의사항 등을 원스톱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오늘 발표한 7개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와 5개 신규 소부장 특화단지가 국내 소부장 생태계 조성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상호보완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운영할 계획이다. 7개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는 ▲반도체(용인·평택, 구미) ▲이차전지(청주, 포항, 새만금, 울산) ▲디스플레이(천안·아산) 등이며, 2042년까지 민간투자 총 614조원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첨단, 소부장 특화단지 지도(사진=산업부)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미래차 분야는 자율주행차 부품, 전기차 모터 등 미래차 전환에 필요한 핵심 부품 공급망을 강화하고, 코로나 19이후 급성장 중인 바이오 분야는 배양, 정제, 완제 등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 공정에 활용되는 원부자재 등 필수 바이오 소부장을 강화하고자 한다. 반도체 분야에서는 국산화율이 낮은 반도체 장비와 차세대 전력반도체 분야의 생태계를 구축하겠다”며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그는 “오늘 지정된 특화단지들이 우리 경제의 강력한 성장엔진이 될 수 있도록 각종 인허가, 인프라, 연구개발(R&D) 등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지난 6월 신설된 ‘소재부품장비 공급망 센터’를 활성화하고 올해 하반기에 ‘산업공급망 3050 정책’을 수립해 체계적인 공급망 관리를 추진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