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우주·항공 탄소복합재 기술개발 로드맵 연내 수립

정부·산업·연구계 공동 참여 ‘탄소복합재 점프-업 파트너십’ 발족

디지털경제입력 :2023/07/13 09:54    수정: 2023/07/13 13:09

정부와 산업계, 연구계가 참여하는 우주·항공 분야 탄소복합재 기술개발 협의체가 출범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효성 첨단소재·포스코퓨처엠·한국항공우주(KAI) 등 탄소복합재 기업과 한국탄소산업진흥원·생산기술연구원 등 유관기관 등이 함께하는 ‘탄소복합재 점프-업 파트너십’을 발족했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가운데)이 13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열린 '탄소복합재 점프업 파트너십' 발족식에서 '우주항공 탄소복합재 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요-공급기업 업무협약' 참여 기관, 기업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탄소복합재는 탄소섬유, 활성탄소, 인조흑연, 탄소나노튜브(CNT) 등 경량·고강도 물성을 가진 소재다. 탄소섬유는 도심항공교통(UAM), 우주발사체 등에 사용되고, 탄소나노튜브는 이차전지 등 첨단산업의 핵심 소재로 활용되지만 트랙 레코드(납품이력) 부족 등의 이유로 국내 탄소복합재 기업들의 글로벌 판로확보나 기술력 확충에 한계가 지적돼 왔다.

산업부는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탄소복합재 수요-공급기업, 연구소 등이 참여하는 파트너십을 발족했다.

파트너십에서는 탄소복합재 수요기업이 향후 수년간 개발할 제품과 개발 일정을 공유하고 제품에 필요한 소재와 부품을 공급기업이 개발하는 기술개발 로드맵을 공동 수립할 예정이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오른쪽 다섯 번째)은 13일 서울 여의도 켄싱턴호텔에서 '탄소복합재 점프업 파트너십'을 발족하고 참석자들과 탄소복합재 정책방향 등을 논의했다.

산업부는 우주항공 분야 탄소복합재 기술개발 종합 로드맵을 연내 수립할 계획이다. 활성탄소도 안정적 공급망 확보를 위한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을 추진한다. 또 탄소복합재의 수출 확대를 위해 시험·인증, 글로벌 환경규제 대응 계획도 수립할 예정이다.

이날 파트너십 발족식에서는 로드맵 수립을 위한 ‘우주항공 탄소복합재 경쟁력 강화를 위한 수요-공급기업 업무협약’과 ‘국산 원소재 기반 활성탄소 공급망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도 이뤄졌다.

관련기사

산업부는 이날 발족한 파트너십을 통해 탄소복합재 수요-공급기업 간 협업의 장이 마련되고 기술개발 로드맵 수립과정을 통해 협력분야가 구체적으로 발굴되고, 국내 공급기업의 트랙 레코드 확보와 기술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다.

장영진 산업부 제1차관은 “탄소복합재 성장성과 첨단산업에 대한 파급효과를 고려할 때, 민관 역량을 모아 대응해야 한다”며 “정부는 고성능 탄소복합재 기술개발, 인프라 구축과 함께 각종 규제와 애로를 해소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