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플라스틱 순환경제 전문가 포럼 만든다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 대응 순환경제 간담회 개최

디지털경제입력 :2023/04/21 17:05

환경부가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 대응을 위해 각계 전문가로 구성한 '플라스틱 순환경제 전문가 포럼'을 만들어 운영한다.

환경부는 21일 오후 서울 반포 한강홍수통제소에서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 대응을 위한 ‘플라스틱 순환경제 포럼 간담회’를 개최하고 포럼 운영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는 국내 플라스틱 정책을 수립하고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 대응 전략을 구체화 하기 위해 플라스틱 순환경제 전문가 포럼을 구성·운영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간담회는 ▲플라스틱 순환경제 전문가 포럼 운영 방안 ▲플라스틱 국제협약 정부간협상위원회 대응 방안에 대한 주제발표와 논의로 진행됐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이 21일 한강홍수통제소에서 플라스틱 순환경제 포럼 간담회’를 주재하고 있다.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은 지난해 3월 케냐에서 열린 제5차 유엔환경총회에서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다루기 위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협약을 추진하자는 결의안이 처음으로 채택되면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됐다. 지난해 11월 제1차 정부간협상위원회가 우루과이에서 열렸고, 제2차 회의는 올해 5월 파리에서 개최된다.

환경부 관계자는 “플라스틱 국제협약 논의가 본격화하면 플라스틱 생산, 유통, 소비, 수거, 재활용 및 국제무역 등 전생애 주기에 걸쳐 국민 생활과 기업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이라며 “그간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 제2차 정부간협상위원회 준비를 위해 주요 국가와 이해관계자 동향을 지속해서 살펴보고, 산업계 의견을 수렴한 후 관계부처 협의를 거치는 등 우리 실정에 맞는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환경부는 전생애 주기 관점에서 플라스틱 순환경제 이행 및 대응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앞으로도 플라스틱 순환경제 전문가 간담회를 활성화하는 등 지속해서 소통할 계획이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플라스틱 오염이라는 전 세계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