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기업이 협력해 초거대 인공지능(AI) 기술을 공공분야에 도입할 방법을 논의했다. 정부와 기업은 초거대AI를 가장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분야부터 시작해 AI 기능을 개선하면서 적용 분야를 확장할 방침이다.
국회 신상정포럼회는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공공행정 AI 도입방안 모색 포럼'을 개최하고 민간 초거대 AI를 공공 분야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공유했다. 포럼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엄열 AI기반정책관, 행정안전부 황규철 공공지능정책관, 네이버 하정우 AI랩 소장, SKT 신용식 부사장 등 정부·기업 관계자가 토론패널로 참석했다.
"초거대AI, 행정업무·민원 처리 서비스에 우선 적용"
과기정통부 엄열 AI기반정책관은 올해부터 민간 초거대AI 기반 서비스를 공공 분야에 본격 도입하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가장 먼저 내부 행정업무와 민원 처리 서비스에 활용한다.
정부는 초거대 언어모델을 행정 보도자료, 홍보문구 생성에 적용할 방침이다. 일반적으로 공무원들은 새로운 정책 추진에 대한 보도자료를 작성해 배포한다. 이에 드는 시간이 오래 들뿐더러 이에 따라 다른 중요한 업무에 집중하기 힘들었다.
엄열 AI기반정책관은 "민간 초거대AI 서비스를 공무원 업무에 활용해 정부 생산성을 높이겠다"며 "단순 업무는 줄이고 중요 분야에 인력을 집중 배치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초거대AI 모델을 민원 처리 서비스에도 도입할 방침이다. 엄 정책관은 "기존에는 챗봇이 있어도 생성형이 아닌 준비된 답변만 제공했다"며 "초거대AI를 접목해 질문 자체를 이해하고 답변을 생성할 수 있는 챗봇으로 기능을 업그레이드하겠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 황규철 공공지능정책관은 초거대AI를 공공분야에 도입할 때 고려해야 할 사안에 대해 말했다.
황규철 공공지능정책관은 "신뢰성과 정확성에 대한 문제 위험성이 적은 분야에 AI 모델을 우선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 작성이나 자료검색 등 공무원 내부 업무에 안전하게 적용할 수 있는 곳부터 공략하겠다는 방침이다.
그는 "챗GPT처럼 언어모델은 100% 맞는 답변을 낼 수 없다"며 "먼저 정부 내부에서 오류를 바로 수정할 수 있는 분야에 배치해 기능을 올리고 오류를 바로잡겠다"고 말했다. 공무원 내부 업무에서 충분한 실증을 거친 후 점진적으로 다른 공공분야로 확대하는 식이다.
그는 "AI를 공공에 적용할 때는 많은 구축 비용이 든다"며 "민간과 협업해 효율적인 방식으로 적용 분야 확대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구현에 필요한 기능, 비용, 보안, 기술 발전 속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민간 초거대AI를 공공에 확장 적용할 셈이다.
그는 AI 모델에 들어갈 학습데이터 구축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데이터는 개인정보 관련한 이슈를 모두 제거한 후 활용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AI 성능을 끌어올릴 수 있는 데이터 학습 방법을 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초거대AI와 클라우드는 한 몸...공동 성장 전략 필요"
네이버 하정우 AI랩 소장은 초거대AI뿐 아니라 클라우드 정책 개선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하정우 소장은 "오픈AI가 마이크로소프트와 협업하기 시작했고, 최근 아마존웹서비스도 초거대AI 대열에 합류했다"며 "초거대AI와 클라우드는 함께 성장하는 분야다"고 강조했다.
하 소장은 "정부는 초거대AI뿐 아니라 국내 클라우드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전략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국내 클라우드 기업을 보호해야 한다는 의미다. 그는 "특히 초거대AI 활용을 위한 망 정책을 추가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향후 누구나 비용 부담 없이 초거대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 예산 편성도 더 늘려야 한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1500개 행정 서비스, 홈페이지 한 곳으로 모은다2023.04.14
- 개인정보위, 오픈AI 소통창구 개설…"국민 데이터 적합하게 수집했는지 파악"2023.04.14
- EU도 챗GPT 주목…전담 TF 만들었다2023.04.14
- [미장브리핑] "챗GPT, 주가 수익률 예측에 긍정적"2023.04.13
SKT 신용식 부사장도 정부 클라우드 정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신 부사장은 "챗GPT 등을 공공에 원활히 활용하려면 비용 효율적인 온프레미스 인프라와 서비스 구성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부사장은 "현재 정부 클라우드 보안인증 제도상 내부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는 물리적으로 망 분리된 퍼블릭 클라우드나 프라이빗 클라우드만 활용해야 한다"며 "보안이나 인프라 비용 특성상 챗GPT 등 퍼블릭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만 사용하기 어렵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