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 면역치료제 효과 떨어뜨리는 단백질 찾았다

KAIST, 표적단백질 시캠1 발굴...기존 면역치료 한계 극복할 새 면역치료법 제시

과학입력 :2023/03/06 11:20    수정: 2023/03/06 15:11

조절T세포는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일반 T세포와는 달리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T세포이다. 자기항원에 대한 면역반응을 억눌러 자가면역 질환을 막는 역할을 하지만, 암 환자의 경우 암세포에 대한 면역항암 치료 효과를 떨어뜨려 문제가 된다.

KAIST(총장 이광형)는 종양 안에 있으면서 면역세포의 암세포 제거 능력을 저해하는 조절T세포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신규 면역항암 치료법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KAIST 의과학대학원 박수형, 신의철 교수, 삼성서울병원 서성일, 강민용 교수 공동연구팀은 신장암 환자의 조직과 혈액을 분석, '시캠1(CEACAM1)'이란 단백질이 혈액 안 조절T세포에선 발현되지 않고 종양 내 조절T세포에서만 발현됨을 발견했다.

연구진이 신장암 환자의 종양 내 면역세포에서 CEACAM1을 발현하는 종양 내 조절 T세포를 없애자 면역항암 작용을 하는 면역세포의 종양 제거 능력이 크게 좋아졌다. 또 CEACAM1을 발현하는 면역세포를 제거하면 대표적 면역항암제인 면역관문억제제의 면역항암 기능이 향상됐다.

조절T세포의 면역 기능에 관한 연구 내용 (자료=KAIST)

CEACAM1을 발현하는 종양 내 조절 T세포가 항종양 면역반응을 억제하는 주된 세포임을 확인한 것이다. CEACAM1 단백질을 종양에서 조절T세포만 골라 제거하기 위한 타겟 단밸질로 쓸 수 있다는 의미다. 이 세포의 특성을 파악하고 선택적으로 제거하거나 이를 표적으로 하는 치료 전략이 항암치료 효과 개선과 면역치료제 개발에 활용될 수 있으리라고 연구진은 기대했다.

관련기사

이번 연구의 공동 제1 저자인 KAIST 전승혁 박사와 삼성서울병원 강민용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새로운 표적 단백질을 발굴함과 동시에 종양 내 조절 T세포의 생물학적 특징에 대한 이해를 높였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연구"라며 "이번 연구 결과가 궁극적으로 면역항암제에 대한 저항성을 극복하는 해결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기초연구실지원사업을 받아 수행한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암학회가 발행하는  학술지 '클리니칼 캔서 리서치(Clinical Cancer Research)'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