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0,000,000,000,000분의 1 안정성 가진 테라헤르츠파 만든다

KAIST, 초안정 테라헤르츠파 생성 기술 개발...6G 표준 활용 기대

과학입력 :2023/03/03 10:55    수정: 2023/03/07 12:06

세계 최고 수준의 안정도를 가지는 초안정 테라헤르츠파 생성 원천 기술을 개발했다고 KAIST(총장 이광형)가 3일 밝혔다. 차세대 6G 무선통신, 양자 분광 기술, 군사용 레이더 기술을 실현하고, 6G 통신 기기 간 주파수 표준으로 이용될 수 있으리란 기대다.

6G 통신 대역으로 쓰일 차세대 테라헤르츠파 기술을 선도하려면 테라헤르츠 소자에 대한 개발과 평가가 필요하다. 하지만 테라헤르츠 전송, 변조 및 검출 소자들에 대한 평가를 수행할 수 있는 초안정 표준급 테라헤르츠 신호 생성에 어려움이 있었다.

기존 테라헤르츠파 생성 방식은 상대적으로 주파수 안정도가 낮은 마이크로파 원자시계에 기반한 것이라, 최근 개발된 광 시계에 비해 안전도가 수천 분의 1 이상 수준이다.

광 시간 표준 기반 초안정 테라헤르츠파 생성 기술 (자료=KAIST)

KAIST 기계공학과 김승우, 김영진 교수 공동연구팀은 천조분의 일(1/1,000,000,000,000,000)의 안정도를 가지는 매우 정밀한 광주파수 대역의 시간 표준을 안정화하는 펨토초 레이저 광빗으로부터 두 개의 레이저를 추출 및 합성해 테라헤르츠파를 생성했다. 광빗이란 빛의 스펙트럼이 머리빗과 닮았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광빗의 안정도를 유지하기 위해 잡음 보상·제어 기술도 개발했다.

이후 광빗의 넓은 대역폭 특성을 활용해 테라헤르츠파를 생성하고, 전 대역에서 시간 표준 수준의 안정도(천조분의 일)를 가지는 것을 검증했다.

이는 세계 최고 수준의 광 시계 안정도를 테라헤르츠 대역에서도 새로이 실현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관련기사

주저자인 신동철 연구원은 "펨토초 레이저 광빗을 매개로 한 테라헤르츠 생성 기술 개발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광 시계 안정도를 테라헤르츠 영역으로 확장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검증했다"라며 "차세대 6G 무선통신 대역에서 가장 우수한 안정도를 선점한 것에 의미가 있고, 테라헤르츠 핵심 소자 평가 등에 응용돼 테라헤르츠 대역 표준 확립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최근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