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이튼, 미유통 물량 73% 소각…"인플레 억제"

잔여 물량도 소각 가능성 시사…생태계 활성화 펀드도 재정비

컴퓨팅입력 :2023/02/22 10:28

레이어 1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의 사업을 맡는 클레이튼 재단은 클레이튼 기축 유틸리티 토큰 ‘클레이(KLAY)’의 미유통 물량 총 약 72억8천만개의 73%인 52억8천만개소각을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재단은 이런 계획을 포함한 클레이 수요 공급 모델 및 정책(토크노믹스) 안을 이날 오전 9시부터 거버넌스 카운슬(GC) 투표에 부쳤다. 투표는 오는 28일 23시 59분 종료된다.

클레이튼은 지난 2019년 메인넷 출범 시 최초 100억개의 KLAY를 발행했다. 현재 거래소 등 시장에 약 31억개의 KLAY가 유통 중이다. 클레이튼 블록체인은 현재 1초에 하나씩 생성되는 블록 당 6.4개의 KLAY가 발생하도록 설계돼, 한 해 약 2억개의 KLAY가 추가된다. 현재 KLAY 총량은 약 110억개다. 

미유통 KLAY 물량(리저브) 처리 계획안

재단은 지속 가능한 클레이튼 토크노믹스를 위해 공급 대비 수요 확대 요인을 늘려야 한다고 보고 미유통 물량 52억8천만개를 이번 GC 승인 후 선 소각 처분한다. 소각은 GC 투표 통과 후 최대한 신속히 진행할 예정이다. 

미유통 물량 잔여 20억개는 ‘KLAY 가치 제고 리저브(KVCR)’로 두고, GC 구성원들의 온체인 승인 절차 하에 KLAY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사업에 활용, 전반적인 KLAY 유통량 조절에 기여토록 한다. KVCR도 향후 3년 내 최적의 활용처를 찾지 못한다면 전량 소각한다는 계획이다.

재단은 기존 각각 클레이튼 생태계에 기여할 서비스와 공공 활용 인프라 확장을 지원하는 재원 'KGF'와 'KIR'을 보다 투명하고 탈중앙화된 방식으로 운영하기 위해 ‘클레이튼 커뮤니티 펀드(KCF)’로 통합한다. ‘클레이튼 재단 펀드(KFF)'도 편성해 재단 운영과 신규 GC 유치, 재단 주도 서비스 개발 등에 활용한다. 

KCF와 KFF는 GC의 승인을 통해서만 집행되며, 클레이튼 스퀘어 거버넌스 포털에 각 재원 활용 전후 절차들이 공개될 예정이다. KLAY 홀더들은 향후 클레이튼 스퀘어의 온체인 투표 기능 활성화 이후, 일부 GC 멤버에게 KLAY를 예치해 투표권을 위임할 수도 있어, 생태계 운영에 간접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재편성한 생태계 및 GC 보상 계획 및 재원 비중

이번 토크노믹스 제안에는 GC 승인이 완료된 GC 블록 생성 보상안도 포함한다. 클레이튼 블록체인 개발사 그라운드엑스에 지급 예정돼 있는 KLAY 약 1억9천700만개는 지갑을 공개하고 투명하게 집행할 예정이다.

클레이튼 재단은 개발자들을 위한 다양한 API, 라이브러리 등을 활용해 디앱을 개발하도록 지원하고, 이들 디앱들에서 KLAY가 사용, 소각되는 형태로 디플레이션이 이뤄지도록 할 방침이다. KLAY 발행 일정표를 최신화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지속 고민해 나갈 예정이다.

서상민 재단 이사장은 “리저브 수량의 소각과 함께 개편된 토크노믹스는 장단기적으로 클레이튼 메인넷 상의 프로젝트의 활성화, 유망 프로젝트 온보딩 활동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동시에, 궁극적으로 클레이튼의 미래를 위해 긍정적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