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은 총재 "새해, 통화정책 소통 어려울 것"

"국내 소비자물가지수 둔화, 주요국 대비 더딜 수 있어"

금융입력 :2023/01/18 15:48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새해 국가별로 통화정책이 차별화되고 있다”며 “소통의 어려움이 가중될 것”이라고 밝혔다.

18일 이창용 총재는 서울외신기자클럽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인플레이션은 주요국과 마찬가지로 경기하방 압력이 커지면서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그는 “하지만 국내 소비자물가지수 둔화 흐름은 지난해 국제유가 급등의 영향이 CPI에 뒤늦게 반영되면서 주요국과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창용 총재는 “예를 들어, 지난해 유로지역의 전기·가스요금 등 에너지요금 상승률이 40%를 상회한 반면 한국에서는 13%에 그쳤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이에 따라 올해 유가 수준이 작년보다 낮아지더라도 한국의 경우 그간 누적된 비용인상 압력이 금년 중 전기·가스요금 등에 뒤늦게 반영되면서 소비자물가지수의 둔화 속도가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딜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그는 “향후 통화정책 운영 및 소통 과정에서 이러한 차이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며 “금융안정과 관련한 소통의 어려움도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부채문제로 한국의 금융시스템에 단기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없어 보이지만, 부동산 관련 부문에서 어려움이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렵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이창용 총재는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지난해에는 5% 이상의 고물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물가에 중점을 두었다면 올해는 경기 및 금융안정과의 트레이트 오프도 면밀하게 고려해야 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는 “한국은행은 다양한 정책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앞으로 통화정책을 보다 정교하게 운용해 나갈 것”이라며 “시장과의 투명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도 적극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