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 '드론 배송' 상용하는데...한국선 먼 얘기

국내선 아직 규제 샌드박스 실증 단계...미국·유럽·호주선 서비스 개시 성공

디지털경제입력 :2022/11/15 15:10

미국 등 해외에서 드론 배송 상용화가 잇따르고 있지만 국내는 인프라 부재와 안전 문제로 산업 성장이 더디게 이뤄지고 있어 관련 제도 개선과 지원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드론 전문 기업과 지자체 등 민관이 드론 배송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드론 배송은 인구가 밀집한 도심은 물론 도서·산간 지역의 배송 수요를 충족해 물류 생산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 때문에 미국 등 첨단 기술이 발달한 국가에서는 이미 드론 배송 상용화를 시작했다. 아마존이 운영하는 드론 배송 전문 기업 윙은 미국, 유럽, 호주에서 상업용 드론 배송을 운영 중이다. 최근에는 미국판 배달이 민족이라 불리는 도어 대시와 협력해 음식 배송에도 나섰다.

파블로항공이 경기 가평군에서 편의점 드론 배송 서비스를 실증했다. 배송 직후 상품을 확인하고 있는 드론 배송 서비스 이용 첫 고객 (사진=파블로항공)

■ 관련 제도·인프라 미비...도서 지역 배송부터 상용화 전망

그러나 국내에서는 드론 배송을 시행할 수 있는 법과 인프라가 미비하거나 턱 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먼저 드론은 현행법상 배송 수단으로 활용할 수 없다. 생활물류법상 배송 수단은 화물차, 이륜차로 한정됐다. 이에 국토부 주도로 배송 수단에 드론을 추가하는 법 개정 추진을 시작한 단계다.

뿐만 아니라 드론활용법상 일몰 이후에는 드론 비행이 금지된다. 도심이 복잡하고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인프라가 부족한 것도 한계다.

무인 비행이 제한되는 군사 지역이 많은 국내 상황의 특수성도 고려해야 한다. 국토부 산하 드론 원스톱 민원서비스를 보면, 서울·부산·인천 등 주요 도시에 드론 비행 허가 지역이 밀집돼 있다. 이곳에서 드론 비행을 하려면 수일 전부터 관할 지역 항공청의 비행 허가를 받아야 한다. 항공 사진을 촬영하려면 군 담당자의 허가도 받아야 하는데, 드론 배송을 관제하기 위해서는 비행 시 촬영이 필수다.

■ 드론 배송 불모지 한국, 규제 샌드박스에서 상용화 첫 발

이 같은 현실적인 여건 때문에 국토부는 복잡한 도심 속 드론 배송 보다는 우선 도서 지역 긴급 택배 등 기존 물류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을 위주로 드론 배송을 상용화할 계획이다.

민간에서는 드론 전문 기업이 규제 샌드박스 실증 사업을 발판으로 산업을 움트고 있다.

관련기사

드론 전문 기업 파블로항공은 지난 7월부터 연말까지 경기도 가평에서 드론 배송 실증에 돌입했다. 편의점 세븐일레븐과 서비스를 연계해 소비자가 스마트폰 앱에서 물품을 주문하면, 지정된 장소에서 드론을 활용해 배송받을 수 있도록 했다. 파블로항공은 비행 최대 시간 25분, 최대 적재량 5kg인 드론을 활용해 하루 평균 4~5건 정도 배송을 완료하고 있다.

파블로항공 측은 "지금은 안전한 드론 배송 관련 데이터를 축적하고, 드론 인프라와 관련 규정을 확립하기 위해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단계다"며 "진행 중인 실증 사업 목적도 드론 배송 불모지인 한국에서 상용화에 필요한 안전·과제 수행 능력 등을 살펴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