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나요법’으로 턱관절 장애 치료시 기능, 통증, 삶의질 개선에 효과

자생한방병원, 턱관절 장애에 추나요법 임상연구 분석

헬스케어입력 :2022/09/26 17:38

턱관절은 음식물을 섭취하거나 대화를 할 때 심지어 숨을 쉴 때조차 움직이는 부위로 각종 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턱관절 장애 환자 수는 47만명으로 2016년 대비 25.25% 증가했다.

문제는 아직까지 턱관절 장애의 발병 기전이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비침습적이고 보존적인 치료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는데 추나요법과 물리치료, 보조기 착용 등이 대표적이다.

2019년부터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있는 추나요법은 턱관절 장애 환자에게도 빈도 높게 처방되는 치료법 중 하나다. 한의사가 직접 관절과 인대, 근육을 밀고 당기며 정렬을 바로잡는 치료법으로 틀어진 턱관절을 교정하고 운동 범위를 늘리는 데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임상연구 분석을 통해 추나요법의 유효성을 입증한 최초의 연구논문이 발표돼 이목을 끌고 있다. 턱관절 장애 치료에 있어 추나요법의 효과가 객관적으로 재확인된 것이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 이남우 한의사 연구팀은 턱관절 장애에 대한 추나요법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추나요법이 턱관절의 기능과 통증, 삶의 질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진이 턱관절 장애 환자에게 추나요법을 실시하고 있다.(사진제공=자생한방병원)

연구팀은 추나요법을 받은 성인 턱관절 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 강도와 기능장애 수준, 삶의 질을 연구한 무작위대조임상시험(RCT) 논문 총 12편을 분석했다. 개별 연구 간의 표준화된 비교를 위해 추나요법 치료군을 기준으로 비교 대상과의 평균차와 상대위험도를 분석해 얼마만큼 효과를 보이는지 측정했다.

연구팀이 추나요법 치료군과 물리치료, 초음파치료 등을 포함하는 의과 통상치료군으로 대상을 나눠 분석한 결과, 추나요법군을 중심으로 의과 통상치료군과 유효율을 메타분석한 결과 상대위험도는 1.15(95% 신뢰구간 1.05, 1.27)로 추나요법군이 의과 통상치료군보다 유의미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 유효율은 관절의 운동 정도, 입을 벌릴 수 있는 개구량, 저작기능 등을 4단계로 나눠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척도를 말한다.

특히 추나요법은 다른 치료법과 병행될 경우 더욱 뛰어난 효과를 나타냈다. 추나요법 및 의과 통상치료 병행군을 의과 통상치료군과 비교했을 때 유효율이 1.28(95% 신뢰구간 1.08, 1.52)로 더 높았으며, 추나요법을 침‧뜸 등 한의과 통상치료와 함께 실시한 경우도 한의과 통상치료만을 진행한 환자에 비해 높은 유효율을 보였다.

또 통증 정도를 나타내는 시각통증척도(VAS) 분석 결과에서도 평균차는 -1.17로 추나요법군의 통증 개선 효과가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VAS는 숫자가 높을수록 통증이 심함을 의미하기 때문에 평균차가 음의 값으로 나온다는 것은 추나요법의 통증 감소 효과가 크다는 것을 뜻한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수기로 근육과 뼈를 다루는 치료 방식으로 즉각적인 효과를 보이는 추나요법이 기능 개선과 통증 완화 면에서 의과 통상치료보다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했다.

뿐만 아니라 연구팀은 치료 전후 삶의 질에 대한 평가 측정에서 삶의 질 평가 지표인 EQVAS(EuroQol VAS)와 SF-12 PCS 척도가 사용해 메타분석한 결과, 각각 평균차 13.35, 4.59로 추나요법군의 삶의 질이 보다 높게 나타났다.

관련기사

자생한방병원 이남우 한의사는 “이번 연구는 턱관절 장애에 대한 추나요법의 체계적 문헌고찰을 시행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추나요법의 임상적 유효성을 명확하게 입증할 수 있는 대규모 연구 또한 이어 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해당 논문은 SCI(E)급 국제학술지 ‘Alternative Therapies in Health and Medicine’(IF=1.804)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