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연구원(KERI, 원장 직무대행 김남균)은 차세대 대용량 전지로 주목받는 리튬금속전지의 출력과 안정성을 대폭 높이는 배터리 구조를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리튬금속전지는 음극에 기존 흑연 대신 리튬을 사용하는 전지다. 리튬을 음극으로 쓰면 흑연에 비해 이론상 저장 용량이 10배 이상 높아져 전기자동차나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의 분야에서 관심이 높다.
하지만 충방전을 할 때 리튬 금속을 효과적으로 저장하지 못하면 리튬이 나뭇가지 모양으로 성장하며 내부 안정성을 해치는 '수지상 결정(dentrite)'이 형성되며 점점 부피가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전지 수명 저하와 내부 단락에 따른 화재·폭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KERI 차세대전지연구센터 김병곤 박사팀은 '중공 코어 다공성 쉘 구조의 탄소 나노섬유' 구조를 개발, 이같은 문제를 해결했다. 속이 비어 있는 중공 코어 부분에는 리튬 친화성 물질인 금 나노 입자를 소량 첨가했다. 금은 리튬과 우선적으로 반응해 리튬의 성장 방향을 제어, 리튬을 코어 내부에 저장하도록 돕는다.
껍데기인 쉘 부분에는 리튬 이온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일종의 구멍인 기공을 만들었다. 기존 중공 코어-쉘 구조는 고속 충·방전 조건에서 리튬 이온이 탄소물질인 쉘과 만나면 쉘 표면에 전착되는 문제가 있다. 연구팀은 쉘에 기공을 만들어 고속 충·방전에서도 리튬의 수지상 성장 없이 전·탈착 효율을 높였다.
김병곤 박사팀은 중앙대 문장혁 교수와의 협업을 통해 기술 효과도 이론적으로 검증했다. 시뮬레이션 해석 결과, 고출력 조건에서도 쉘 기공과 리튬친화성 물질 덕분에 리튬이 코어 내부에 전착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했다. 또 전류밀도가 높은 조건(4C 입출력)에서도 500사이클(용량 유지율 82.5%) 이상의 성능을 확인했다. 대량 생산에 유리한 합성법인 '전계방사법(electrospinning)'을 활용해 실용성도 확보했다.
관련기사
- LG화학, 美 GM과 ‘양극재’ 장기 공급포괄적 합의2022.07.27
- 정부, 핵심광물 공급망 논의 민관연 협의체 만든다2022.06.09
- 차세대 리튬금속 배터리 수명 연장하는 첨가제 개발2022.02.21
- 배달앱 수수료 7.8%로 인하...'배민 상생안' 극적 합의2024.11.14
김병곤 박사는 "리튬금속전지는 고용량이라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안정성 문제로 인해 상용화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다"라며 "이번 성과는 고속 충·방전 조건에서도 리튬 전·탈착 효율이 향상된 리튬 저장체를 대량으로 생산하는 기법을 개발했다는 측면에서 가치가 크다“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 및 KERI 기본사업으로 진행됐으며, 학술지 'ACS나노(ACS Nano)' 8월호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