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조선업 인력 부족 해결한다…3대 정책 중심 지원 방안 마련

이창양 장관 19일 조선 3사 CEO 간담회…인력확충·기술개발·생태계 조성

디지털경제입력 :2022/08/19 11:22

정부가 인력확충·기술개발·생태계 조성을 골자로 한 조선업 지원 방안을 내놨다. 특히 인력 부족이 심화하고 있는 조선업계에 전문인력·외국인력 도입 등 적극적인 인력 확충 계획을 수립키로 했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19일 서울에서 ‘조선 3사 최고경영자(CEO)와 간담회’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이날 조선업계는 최근 수주물량 확대에도 불구하고 인력부족은 심화하고 있다면서 정부에 기술인력 양성을 위한 지원 사업과 외국인 인력 도입 제도개선을 건의했다. 또 최근 선가상승에 따른 금융권의 선수금환급보증(RG) 한도 상향, 국산 기술을 적용한 조선기자재의 실선 적용 확대 등도 요청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서울 종로구 포시즌스호텔에서 '조선 3사 최고경영자(CEO) 간담회'를 개최했다. 정진택 삼성중공업 대표(왼쪽부터),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가삼현 한국조선해양 대표, 박두선 대우조선해양 대표가 간담회 이후 기념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

이 장관은 정부도 인력확충·기술개발·생태계 조성 등 3대 분야의 정책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우선 조선업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생산인력 확충, ▲설계·엔니지어링 등 전문인력 양성, ▲외국인력 도입 제도개선 등 종합적인 인력 확충계획을 수립 할 예정이다.

또 정부와 업계가 기술개발을 통해 주력선종인 LNG 운반선·추진선 초격차를 유지하고 수소·암모니아 등 무탄소선박과 자율운항 선박 시장에 선제적으로 대응키로 했다.

이 밖에도 생산 공정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해 업계 생산성을 향상시킬 예정이다. 더불어 수주물량 이행을 위한 금융애로 해소 등 중소조선사의 경쟁력 제고와 함께 설계 연구개발(R&D) 기술 경쟁력도 강화한다.

관련기사

산업부는 이번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조만간 '조선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한편, 국내 조선 3사는 올해 2천340억원을 투자해 암모니아 추진 선박, 탄소 포집장치, 스마트십 데이터플랫폼 등 무탄소․디지털전환 기술개발과 함께 스마트 야드, 친환경 설비 구축 등 미래 시설 투자를 단행할 예정이다.